'진짜 ESG 모범생' 찾는다…'ESG경영 혁신대상' 모집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관련한 평가를 받는 기업들의 공통된 고민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 어렵다”는 것이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 해외 평가기관은 한국의 법과 제도 등을 반영하지 않고, 국내 대부분 평가기관은 산업별 상황에 따라 가중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다. 각 기업의 ESG 실적과 평가 성적이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다음달 13일까지 모집하는 ‘대한민국 ESG경영 혁신대상’은 연세대 동반경영연구센터, IBS컨설팅컴퍼니와 함께 개발한 ‘한국형 ESG 혁신평가모델’을 적용해 평가한다.

'진짜 ESG 모범생' 찾는다…'ESG경영 혁신대상' 모집
이 모델은 △환경(E) 부문 45개 △사회(S) 부문 46개 △지배구조(G) 부문 33개 항목으로 평가한다. 이들 지표는 글로벌 ESG를 평가하는 MSCI,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글로벌리포팅이니셔티브(GRI), 미국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SASB), 기후변화관련재무정보공개태스크포스(TCFD), 레피니티브 등 6대 기관의 지표 중 ‘본질적(substantive) 요소’만 골라 반영했다. 대표적으로 온실가스 저감량, 특수관계자 거래 등이 해당한다. 또 산업통상자원부의 K-ESG 가이드라인도 가미해 ‘한국형 ESG’의 기틀을 갖췄다.

각 부문에 ‘사회적 논란(controversies)’에 해당하는 지표가 포함됐다는 점도 특징이다. 한국 사회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이슈를 부문별 평가에 반영한다. 예컨대 사회(S) 부문에서는 정규직·비정규직 비율, 하도급 구조 등과 관련한 데이터가 평가에 활용된다. 글로벌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의 법과 제도, 문화 등이 동시에 반영된 지표라는 의미다.

단순히 탄소 배출량 등 숫자만으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게 위원회 측 설명이다. ESG 경영 혁신을 통해 얼마나 탄소 배출을 줄였는지가 더 중요하게 반영된다. ESG경영대상위원회 관계자는 “절대적인 실적이 높다고 높은 점수의 평가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며 “ESG 경영으로 개선된 실적이 좋아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구조”라고 말했다. 평가의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정성 평가는 별도 전문가를 위촉해 외부 평가단을 운영한다.

평가는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으로 나눠 진행한다. 기업별 특징을 감안해 산업별, 유형별로 지표와 가중치도 다르게 적용한다. 환경 이슈가 중요한 제조업 등은 E 관련 지표를 모두 활용하고, 탄소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은 금융업 등에선 일부 지표를 빼고 다른 문항에 가중치를 늘려 신뢰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재계 관계자는 “각 사의 ESG 활동이 기관별 평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해 불만을 가진 기업이 많다”며 “진짜 ESG 모범생을 찾는 평가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부문의 경우 124개 지표 가운데 공공기관과 관련성이 높은 104개 지표만 활용한다.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을 평가할 때 큰 의미가 없는 기준 일부를 빼 참가 기관들의 부담을 줄였다. 공공기관이 환경 분야에서 대상을 받으면 환경부 장관상도 받을 수 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