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선택을 시도하던 한 시민의 소중한 목숨을 살린 장연경 소방장. /사진=제주 소방안전본부 제공
극단선택을 시도하던 한 시민의 소중한 목숨을 살린 장연경 소방장. /사진=제주 소방안전본부 제공
"연탄가스를 마시면 어떻게 되나요"

지난 6월 새벽. 힘없는 목소리로 119에 전화를 건 한 신고자는 이 같은 질문만을 반복했다.

당시 119 종합상황실에 있던 상황관리 요원 장연경 소방장은 이 전화가 극단적 선택을 시도하기 전 도움을 요청하는 신호라고 판단했다.

3일 제주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장 소방장이 단순 장난 전화로 여기지 않고 끈질기게 위치를 추적해 소중한 생명을 구해낸 사례가 화제다.

장 소방장은 주변 동료에게 도움 메시지를 전파한 뒤, 신고자의 위치 등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대화를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신고자는 발신자 표시 제한으로 전화를 건 탓에 위치추적과 역 걸기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한다.

이에 장 소방장은 휴대폰 강제 위치추적을 통해 GPS 값을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끈질기게 포털 검색을 벌여 신고자 위치를 찾아냈다.

소방 당국은 장 소방장으로부터 신고자 위치를 전달받았고, 현장 수색을 벌인 끝에 실제로 연탄가스를 마시고 쓰러져 있는 신고자를 발견했다.

소방 당국은 즉시 그를 병원으로 옮겨 목숨을 살렸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장 소방장은 신고자가 치료받을 수 있는 병원을 파악하고,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까지 해주는 등 사후관리에도 힘썼다.

이 같은 장 소방장의 대처는 지난달 31일 대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4회 전국 119 상황관리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장 소방장은 "신고자 입장에서 신고내용을 이해하고, 침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려고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공감을 바탕으로 사소하고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