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폭우 영향' 8월 물가 3.4% 상승…넉달 만에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재부 "10월부터 안정화 예상"
폭염·폭우 등 영향으로 과일값이 큰 폭으로 오르는 등 8월 소비자물가가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석유류 물가도 작년 높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을 키우는 주된 원인이 됐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물가상승률은 전달(2.3%)과 비교해 1.1%포인트(p) 껑충 뛰었다. 2000년 9월(1.1%P) 이후 최대폭이다.
지난 2월부터 둔화한 물가상승률은 7월 2.3%로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서게 됐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은 1년 전보다 5.4% 올라 전체 물가를 0.26%P 끌어올렸다. 특히 과실 물가가 1년 전보다 13.1%나 상승했다. 지난해 1월(13.6%)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품목별로는 사과(30.5%), 복숭아(23.8%)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채소류는 작년 폭염에 따른 높은 물가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1% 하락했다. 다만 전달과 비교하면 16.5% 올랐다.
석유류는 11.0% 하락했지만, 전달(-25.9%)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7월까지 계속된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지난 7월 중순 이후 상승한 국제유가가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되면서다.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도 -0.6%P로 전달(-1.5%P)보다 큰 폭으로 축소됐다.
전기·가스·수도는 21.1% 상승하며 전달과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다.
외식 등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세는 둔화 기조를 이어갔다.
서비스 물가는 3.0% 상승했고 이중 개인 서비스는 4.3%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 물가는 2022년 2월 4.3%를 기록한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개인 서비스 중 외식 물가는 5.3% 올라 2021년 12월 4.8%를 기록한 뒤로 가장 낮았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농산물값 상승 영향으로 1년 전보다 3.9% 상승했다. 올해 3월(4.4%) 이후 최대 폭이다. 이중 식품이 4.7%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 지수는 5.6% 상승했다. 올해 3월(7.3%)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9% 상승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전달과 마찬가지로 3.3% 상승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 동향 통계심의관은 "근원물가로 볼 수 있는 두 지수가 전달과 같은 수준이었다는 것은 8월 물가가 기조적 물가 흐름이 바뀌었다기보다는 일시적 요인에 의한 변동이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전반적인 물가 둔화 흐름은 유지되고 있으며 10월 이후에는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되며 안정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물가 안정 흐름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품목별 가격·수급 동향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10월 이후에는 개인 서비스 물가 오름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농산물가격도 계절적으로 안정되면서 4분기 중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물가상승률은 전달(2.3%)과 비교해 1.1%포인트(p) 껑충 뛰었다. 2000년 9월(1.1%P) 이후 최대폭이다.
지난 2월부터 둔화한 물가상승률은 7월 2.3%로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서게 됐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은 1년 전보다 5.4% 올라 전체 물가를 0.26%P 끌어올렸다. 특히 과실 물가가 1년 전보다 13.1%나 상승했다. 지난해 1월(13.6%)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품목별로는 사과(30.5%), 복숭아(23.8%)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채소류는 작년 폭염에 따른 높은 물가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1% 하락했다. 다만 전달과 비교하면 16.5% 올랐다.
석유류는 11.0% 하락했지만, 전달(-25.9%)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7월까지 계속된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지난 7월 중순 이후 상승한 국제유가가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되면서다.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도 -0.6%P로 전달(-1.5%P)보다 큰 폭으로 축소됐다.
전기·가스·수도는 21.1% 상승하며 전달과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다.
외식 등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세는 둔화 기조를 이어갔다.
서비스 물가는 3.0% 상승했고 이중 개인 서비스는 4.3%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 물가는 2022년 2월 4.3%를 기록한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개인 서비스 중 외식 물가는 5.3% 올라 2021년 12월 4.8%를 기록한 뒤로 가장 낮았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농산물값 상승 영향으로 1년 전보다 3.9% 상승했다. 올해 3월(4.4%) 이후 최대 폭이다. 이중 식품이 4.7%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 지수는 5.6% 상승했다. 올해 3월(7.3%)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9% 상승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전달과 마찬가지로 3.3% 상승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 동향 통계심의관은 "근원물가로 볼 수 있는 두 지수가 전달과 같은 수준이었다는 것은 8월 물가가 기조적 물가 흐름이 바뀌었다기보다는 일시적 요인에 의한 변동이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전반적인 물가 둔화 흐름은 유지되고 있으며 10월 이후에는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되며 안정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물가 안정 흐름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품목별 가격·수급 동향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10월 이후에는 개인 서비스 물가 오름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농산물가격도 계절적으로 안정되면서 4분기 중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