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이석래)은 제44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자로 전남 송강고 2학년 국지성 학생의 '급발진 확인장치', 국무총리상 수상자로 서울 대치초 4학년 한도하 학생의 '방향 지시가 가능하고 발 밑이 보이는 구조용 들것'을 선정했다고 5일 발표했다.
대상인 대통령상 수상작(지도교사 류태욱)은 급발진 추정 사고시 운전자가 어떤 페달을 밟았는지, 페달이 고장났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녹화할 수 있는 장치다. 사고가 운전자의 과실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장치는 브레이크 또는 가속 페달을 밟는 운전자의 동작과 압력의 정도를 차량 정면 유리에 반사함으로써 블랙박스에 녹화되도록 했다. 페달을 밟으면 나타나는 발의 위치 변화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해 데이터로 기록하는 것이다.
대통령상 수상자 국지성 학생
이 장치를 개발한 국지성 학생은 "급발진 사고로 운전하신 할머님은 교통사고특례법으로 구속될 처지에 놓이고 손자는 사망한 사건 등을 보며 (이 장치)발명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했다.
국무총리상 수상작(지도교사 송지수)은 들것의 손잡이에 스위치를 달아 진동, LED불빛, 경보음 발생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넣었다. 혼잡하고 위험한 구조 현장에서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하거나 작업자 간 신호를 주고받는 데 쓸 수 있다. 올 2월 튀르키예에서 일어난 대지진 현장에서 구조대원들이 악전고투하는 모습에 착안했다고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했다.
이밖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 부처 장관상(최우수상) 10점, 우수상 100점 등을 선정했다.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는 1979년부터 열렸다.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면서 발명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다. 올 44회 대회엔 전국 17개 시·도에서 9896명이 참가했다. 지역대회를 통해 선발된 300명이 본선에 진출해 경합했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이번 대회는 그간 이슈가 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창의적 작품들이 많았다"며 "학생들이 우리 대회 참가 경험을 토대로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어 갈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오는 26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열린다.
‘최소 100만 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2022년 2월 이후 사망하거나 다친 것으로 추정되는 양국 군인 수다. 이 전쟁은 현대 전쟁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다. 두 나라는 사상자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1인칭 시점(FPV) 드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전선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험 지역 정찰과 폭발물 탐지를 위해 군인 대신 무인지상차량(UGV)을 투입하고 있다.‘디펜스테크’가 현대 전쟁의 양상을 바꾸고 있다. 디펜스테크는 첨단 무기 시스템, 사이버 보안,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등을 포함한 신개념 군사 기술이다. 현대전의 복잡성과 군사 전략의 빠른 변화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9일 로이터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는 전선에 배치될 로봇 차량 부대를 창설하겠다고 지난 4일 발표했다. UGV를 도입해 공격, 방어, 물류 지원, 부상자 구조, 지뢰 설치 및 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움직임과 속도가 중요한 ‘기동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국내에서도 최근 첨단기술을 군사 목적으로 속속 도입하는 추세다. 최근엔 개인형이동장치(PM)를 군사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공유 서비스 플랫폼 지쿠(GCOO)를 운영하는 지바이크는 4일 인천에 있는 육군 제2291부대와 군사작전 및 훈련에 PM을 활용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바이크 관계자는 “혹한기 등 주요 군사훈련은 물론 실제 작전 시에도 사용될 것”이라며 “도심 내 차량 진입이 어려운 다중 밀집 장소에서도 효율적인 이동 수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미국에선 AI, 드론, 사이버 보안 등 디펜스테크에 대한 투자가 가속화하고 있다. 실드AI, 안두릴 등이 대표 기업이다. 피
국내 시청자도 집에서 유명 유럽 오리지널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가 유럽 최대 미디어제작사와 손을 잡으면서다. LG유플러스는 유럽 최대 미디어사업자인 카날플러스 산하 제작사인 스튜디오카날과 손잡고 최신 오리지널 콘텐츠를 독점 제공한다고 9일 밝혔다. 카날플러스는 52개국에서 콘텐츠 투자·제작·배급 등 전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차별화된 콘텐츠 제공이 LG유플러스가 추구하는 목표다. LG유플러스는 카날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와 영화 등 188편을 독점 제공한다. 이달부터 차례로 공개할 예정이다. 카날플러스의 오리지널 콘텐츠는 LG유플러스의 구독형 상품인 유플레이 베이직(월 9900원)과 프리미엄(1만5400원)에 가입한 고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안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