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NFT가 韓 유망 예술가 세계에 알릴 수 있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Zoom In
디지털 미술 스타트업 '아트토큰' 홍지숙 대표
아트 NFT 플랫폼 '2R2' 운영
국내 작가 130여명 작품 등록
스마트 TV로 거실을 갤러리로
삼성전자 손잡고 전용 앱 출시
디지털 미술 스타트업 '아트토큰' 홍지숙 대표
아트 NFT 플랫폼 '2R2' 운영
국내 작가 130여명 작품 등록
스마트 TV로 거실을 갤러리로
삼성전자 손잡고 전용 앱 출시

홍지숙 아트토큰 대표(사진)는 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트 NFT는 다른 예술품과 달리 쉽게 매매하고 보유할 수 있다”며 “TV, 스마트폰 등 아트 NFT를 접할 수 있는 매체가 증가하면서 한국 작가를 해외에 소개할 기회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NFT는 인터넷상에서 쉽게 매매할 수 있고 보유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소유 관계를 인터넷에서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미술 작품의 아카이빙(기록 저장)에 관심이 있었던 홍 대표는 미술품 보관시설 확보 등의 문제를 NFT가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사업성을 인정받아 창업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L&S벤처캐피탈, KTB네트워크,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으로부터 투자받았다.
홍 대표는 쉽게 즐길 수 있는 게 아트 NFT의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서 바로 관람이 가능하다. 그는 “요즘에는 대부분 집에 대형 스마트TV가 있는데 TV가 미술관의 작품 액자 역할을 하면서 집을 갤러리로 만들어준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아트 NFT 플랫폼의 이런 가능성을 보고 아트토큰과 손을 잡았다. 아트토큰은 최근 삼성 스마트TV용 2R2 앱을 출시했다. 삼성전자는 미국의 니프티게이트웨이, 프랑스의 라콜렉션 등 해외 NFT 플랫폼과도 협업 중이다.
NFT 관련 2차 시장도 주목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NFT업계에서는 NFT의 지식재산권(IP)도 NFT 소유자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사례가 늘고 있다. NFT 보유자가 해당 NFT의 이미지 등을 마음대로 활용해 2차 저작물을 제작하거나 관련 창작물을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홍 대표는 “아트 NFT는 IP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적합한 NFT”라며 “NFT 시장이 더 커질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일본 등 해외시장에 진출해 NFT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글=김주완 기자/사진=강은구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