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대화" 강조하며 형사책임 회피 의도 해석
김만배 '尹 수사무마'엔 발빼고 '인터뷰 조작'은 부인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는 7일 새벽 구속 만료로 석방되면서 예상 밖으로 많은 말을 쏟아냈다.

지난해 11월 첫번째 석방 때 하루 전부터 '언론에 말 안하겠다'는 입장문을 내고 침묵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그만큼 김씨가 '허위 인터뷰' 사안을 심각하게 여긴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3월6일 뉴스타파를 통해 일부가 보도된 김씨의 인터뷰는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수사의 주임검사였던 윤석열 대통령(당시 중수2과장)이 대출브로커 조우형씨를 봐줬다는 내용이 골자다.

조씨가 수사를 피할 수 있었던 데엔 김씨가 윤 대통령과 가까운 박영수 전 특검을 자신이 조씨에게 소개해줬기 때문이라는 게 김씨의 주장이었다.

이에 대해 김씨는 7일 출소하면서 "(윤 대통령이) 당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과장으로서 그런 영향력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번복했다.

자신이 신학림 전 언론노조위원장에게 인터뷰에서 말했던 윤석열 검사의 '봐주기 수사' 주장에서 한 발 뺀 셈이다.

그러면서 김씨는 이 인터뷰가 보도되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으며 오랜 친분이 있는 언론인과의 위로 차원의 사적 대화라는 점을 강조했다.

뉴스타파를 통해 이를 공개한 신씨가 사과해야 한다고도 했다.

쌍방 모두 보도를 전제로 한 인터뷰가 아닌 사적 대화임을 강조해 '팩트를 말할 책임'을 희석한 셈이다.

윤 대통령이 조씨에게 커피를 타 줬다는 언급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다.

뉴스타파 보도에서 김씨는 커피를 타 준 '주체'에 대해 윤 대통령인 것처럼 말했다가 윤 대통령의 부하 검사였다는 취지로 말하는 등 오락가락했다.

인터뷰를 한 신씨도 압수수색을 받은 이달 1일 기자들과 만나 "김씨가 '윤석열이 타 줬다'고 명시적으로 얘기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 발언은 지난해 2월21일 JTBC에서 보도된 민간업자 남욱 씨의 진술을 증폭하는 효과를 냈다.

당시 보도는 남씨가 2021년 11월19일 검찰에서 "조우형이 두 번째 대검 조사를 받을 때 주임 검사가 믹스커피를 타 주고, 화기애애했다고 들었다"며 "해당 검사가 윤석열 중수2과장이라고 김만배로부터 들은 것 같다"고 진술했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윤석열 커피'로 명명돼 대선 막바지 윤 대통령을 향한 더불어민주당 측의 주요 공격 소재로 활용됐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7일 "김씨도 수사 과정에서 허위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정했다"고 밝혔다.

김만배 '尹 수사무마'엔 발빼고 '인터뷰 조작'은 부인
김씨는 그러나 이 인터뷰가 신씨와 공모했거나 이를 보도해주는 대가로 신씨에게 1억6천여만원을 준 게 아니라고 극구 부인했다.

검찰이 현재 수사중인 신씨의 혐의가 배임수재, 청탁금지법 위반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김씨는 7일 이 돈의 성격을 신씨가 저술한 책값일 뿐이라고 적극 주장했다.

또 이 인터뷰가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받은 특혜가 드러나는 것을 막으려는 김씨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대선이 흘러가도록 하려는 선거 개입 공작이라는 검찰의 구도에도 적극 반박했다.

김씨는 "당시 구치소에 있었다.

제가 그렇게 능력 있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그는 조씨에게 허위 인터뷰를 종용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염려 차원에서 동생한테 형으로서 몇 가지 당부를 한 것"이라며 "인터뷰를 종용한 적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검찰이 민간업자 등의 진술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내용과는 다르다.

검찰은 전날 김씨의 추가 구속영장 심문에서 김씨가 2021년 10월 조씨에게 전화해 "(대장동 의혹이) 게이트가 되면 안 된다.

유동규의 뇌물 사건으로 정리돼야 해"라고 말하며 허위 인터뷰를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 달 남씨에게는 "우리랑 이재명은 한배를 탔다.

이재명이 살아야 우리도 산다"며 인터뷰 번복을 지시했다고도 공개했다.

이같은 김씨의 출소 직후 발언을 종합해보면 인터뷰 내용이 '정확한 팩트는 아니다'라는 점은 자인하면서도 사적 대화라는 방어막을 치는 동시에 대가가 오간 의도적 조작이나 선거개입 공작은 아니라는 점을 부각해 형사 처벌을 피하려는 전략을 구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