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블룸버그 "대형사 수출계약 안해"
韓, 요소수 대란 재발할까 '촉각'
韓, 요소수 대란 재발할까 '촉각'
중국 정부가 자국 비료회사들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7일 보도했다. 국내 산업계는 중국 정부가 요소 수출을 통제한 2021년 한국에서 발생한 요소수 품귀 대란이 재발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중국 대형 비료 제조사들이 이달 초부터 요소 신규 수출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적어도 한 개 생산업체가 비료 수출을 줄인다는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다”며 “CNAMPGC홀딩스의 경우 지난 주말 공급을 보장하고 가격을 안정적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선적을 제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장저우 상품거래소에서 요소 선물 가격은 지난 6월 중순부터 7월 말 사이 50% 급등한 이후 등락을 거듭해 왔다. 현지 선물거래 전문가들은 중국 내 재고가 감소하고 수출이 늘어난 까닭에 가격이 상승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중국 내 요소 수급 불균형으로 일부 중국 업체가 수출에 제약받는 것은 사실로 파악된다”며 “국내 수입업체가 중국 업체와의 계약에 어려움을 겪은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중국은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다. 이런 중국의 요소 수출 중단은 세계 곳곳에서 요소와 요소수 등 관련 상품 부족 현상이나 가격 상승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산 요소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로는 인도, 한국, 미얀마, 호주 등이 있다.
중국의 이번 요소 수출 금지 조치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산업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요소수 등 관련 상품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요소수 대란 가능성도 있다.
중국은 2021년에도 비료 수급난이 닥치자 요소 수출을 통제했다. 그 여파로 한국에선 차량용 요소수 가격이 뛰고 품귀현상이 나타났다. 경유 차량엔 매연저감장치를 설치하고 요소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롯데정밀화학, KG케미칼 등 한국의 석유화학 회사들은 중국산 요소를 수입해 농업용 비료와 경유 차량에 들어가는 요소수를 생산하고 있다. 2021년 요소수 품귀 대란 당시 평소 10L당 1만원 수준이던 요소수 가격이 10배 가까이 치솟았다.
이에 따라 일부 화물차는 요소수를 구하지 못해 운행에 차질을 빚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한국과 중국 정부 간 협의를 거쳐 중국이 수출을 허용하면서 두 달여 만에 요소·요소수 대란 사태의 급한 불은 껐다. 한국 정부는 이번에도 외교 채널을 가동해 중국 당국과 접촉하면서 공급망 안정에 관한 우리 측 관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가 다시 요소 수출을 금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운송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 산업계는 요소수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다만 2021년과 같은 요소수 대란이 재발할 우려는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중국이 요소 수출을 재개한 이후 한국이 수입하는 요소의 중국산 비중은 작년 67%에서 올 상반기 89%로 높아지기는 했다. 90% 이상이 농업용 비료로 쓰이는 데다 2021년 요소수 대란을 겪은 정부와 산업계가 유사시 요소를 들여올 수 있는 공급망을 구축해 놨다는 게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한 석유화학회사 관계자는 “중국산 요소 수입이 여전히 많이 집계되는 건 요소의 부피가 커 중국에서 들여오는 게 물류비가 적게 들기 때문”이라며 “요소수 대란 당시 구축해 놓은 중동 국가와 러시아, 일본 등으로부터 대체 수입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세계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만든 요소가 시장에 나오지 않아 국제 가격이 뛰고, 한국은 더 먼 곳에서 들여와야 하기 때문에 요소수 가격이 그만큼 비싸져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농산물 생산비용이 증가해 고공행진을 거듭 중인 신선식품 물가에 또 다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 농가에서 사용하는 비료값도 국제 요소 가격을 따라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김재후 기자 lizi@hankyung.com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중국 대형 비료 제조사들이 이달 초부터 요소 신규 수출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적어도 한 개 생산업체가 비료 수출을 줄인다는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다”며 “CNAMPGC홀딩스의 경우 지난 주말 공급을 보장하고 가격을 안정적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선적을 제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장저우 상품거래소에서 요소 선물 가격은 지난 6월 중순부터 7월 말 사이 50% 급등한 이후 등락을 거듭해 왔다. 현지 선물거래 전문가들은 중국 내 재고가 감소하고 수출이 늘어난 까닭에 가격이 상승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중국 내 요소 수급 불균형으로 일부 중국 업체가 수출에 제약받는 것은 사실로 파악된다”며 “국내 수입업체가 중국 업체와의 계약에 어려움을 겪은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중국은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다. 이런 중국의 요소 수출 중단은 세계 곳곳에서 요소와 요소수 등 관련 상품 부족 현상이나 가격 상승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산 요소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로는 인도, 한국, 미얀마, 호주 등이 있다.
중국의 이번 요소 수출 금지 조치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산업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요소수 등 관련 상품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요소수 대란 가능성도 있다.
중국은 2021년에도 비료 수급난이 닥치자 요소 수출을 통제했다. 그 여파로 한국에선 차량용 요소수 가격이 뛰고 품귀현상이 나타났다. 경유 차량엔 매연저감장치를 설치하고 요소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롯데정밀화학, KG케미칼 등 한국의 석유화학 회사들은 중국산 요소를 수입해 농업용 비료와 경유 차량에 들어가는 요소수를 생산하고 있다. 2021년 요소수 품귀 대란 당시 평소 10L당 1만원 수준이던 요소수 가격이 10배 가까이 치솟았다.
이에 따라 일부 화물차는 요소수를 구하지 못해 운행에 차질을 빚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한국과 중국 정부 간 협의를 거쳐 중국이 수출을 허용하면서 두 달여 만에 요소·요소수 대란 사태의 급한 불은 껐다. 한국 정부는 이번에도 외교 채널을 가동해 중국 당국과 접촉하면서 공급망 안정에 관한 우리 측 관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가 다시 요소 수출을 금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운송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 산업계는 요소수 가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다만 2021년과 같은 요소수 대란이 재발할 우려는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중국이 요소 수출을 재개한 이후 한국이 수입하는 요소의 중국산 비중은 작년 67%에서 올 상반기 89%로 높아지기는 했다. 90% 이상이 농업용 비료로 쓰이는 데다 2021년 요소수 대란을 겪은 정부와 산업계가 유사시 요소를 들여올 수 있는 공급망을 구축해 놨다는 게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한 석유화학회사 관계자는 “중국산 요소 수입이 여전히 많이 집계되는 건 요소의 부피가 커 중국에서 들여오는 게 물류비가 적게 들기 때문”이라며 “요소수 대란 당시 구축해 놓은 중동 국가와 러시아, 일본 등으로부터 대체 수입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세계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만든 요소가 시장에 나오지 않아 국제 가격이 뛰고, 한국은 더 먼 곳에서 들여와야 하기 때문에 요소수 가격이 그만큼 비싸져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농산물 생산비용이 증가해 고공행진을 거듭 중인 신선식품 물가에 또 다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 농가에서 사용하는 비료값도 국제 요소 가격을 따라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김재후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