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뭐든 비싸"…관광객 '썰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엔데믹 이후 드러난 제주 관광의 '민낯'
7·8월 방문객 9.2% 줄어
특급호텔 객실 가동 20% 급감
엔저로 日여행은 급증
"자연경관만 의존한 콘텐츠 한계"
7·8월 방문객 9.2% 줄어
특급호텔 객실 가동 20% 급감
엔저로 日여행은 급증
"자연경관만 의존한 콘텐츠 한계"
제주 애월읍 ‘애월 카페거리’에서 젊은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카페를 운영하는 박상현 씨(39). 그는 요즘 코로나19가 창궐한 2020년 이후 가장 심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여름 휴가철인 지난 7~8월 매출을 정산해 봤더니,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났기 때문이다. 박씨는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을 거치면서 국내 관광객들 사이에 ‘제주 물가가 비싸다’는 인식이 굳어졌다”며 “엔저로 인해 일본 여행을 택하는 관광객도 폭증해 제주가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지 제주도의 관광 업황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8일 제주관광협회에 따르면 올해 여름휴가 기간(7~8월)에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은 230만8261명으로, 전년 동기(254만2965명) 대비 9.2% 감소했다.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제주도를 방문하는 외국인이 16만 명 이상 늘어난 영향으로 감소 폭이 가까스로 두 자릿수를 넘기진 않았다. 하지만 한국인 여행객이 40만 명 가까이 줄어드는 바람에 도내 각종 관광 관련 지표는 급격히 나빠지는 추세다.
지난달 제주 시내 특급호텔 가동 객실은 전년 동월 대비 20% 줄었다. 같은 기간 운영 전세버스와 렌터카 수는 각각 20%, 25% 감소했다. 반면 7월 일본을 찾은 한국인은 62만6800명으로, 전년 동월(2만384명) 대비 30배 급증했다.
관광업계에선 제주도가 썰물처럼 빠져나간 여행객을 다시 유인하려면 취약한 관광 콘텐츠를 개선하는 게 급선무라고 입을 모은다. 수려한 자연경관에만 의존해선 엔저가 해결되더라도 여행 시장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관심을 끄는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문화·예술, 쇼핑시설 등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과 교수는 “제주는 지금의 위기 국면을 관광 콘텐츠를 전반적으로 재정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만큼 다른 콘텐츠만 잘 육성하면 해외 관광지와 비교해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제주=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지 제주도의 관광 업황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8일 제주관광협회에 따르면 올해 여름휴가 기간(7~8월)에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은 230만8261명으로, 전년 동기(254만2965명) 대비 9.2% 감소했다.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제주도를 방문하는 외국인이 16만 명 이상 늘어난 영향으로 감소 폭이 가까스로 두 자릿수를 넘기진 않았다. 하지만 한국인 여행객이 40만 명 가까이 줄어드는 바람에 도내 각종 관광 관련 지표는 급격히 나빠지는 추세다.
지난달 제주 시내 특급호텔 가동 객실은 전년 동월 대비 20% 줄었다. 같은 기간 운영 전세버스와 렌터카 수는 각각 20%, 25% 감소했다. 반면 7월 일본을 찾은 한국인은 62만6800명으로, 전년 동월(2만384명) 대비 30배 급증했다.
관광업계에선 제주도가 썰물처럼 빠져나간 여행객을 다시 유인하려면 취약한 관광 콘텐츠를 개선하는 게 급선무라고 입을 모은다. 수려한 자연경관에만 의존해선 엔저가 해결되더라도 여행 시장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관심을 끄는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문화·예술, 쇼핑시설 등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과 교수는 “제주는 지금의 위기 국면을 관광 콘텐츠를 전반적으로 재정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만큼 다른 콘텐츠만 잘 육성하면 해외 관광지와 비교해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제주=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