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수립일에 노농적위군 열병식…ICBM 등 전략무기는 등장안해
외부 과시보다 내부결속 방점…김정은, 딸 주애와 주석단 중앙에 자리
시멘트포대 아래에 방사포·생수트럭에 병력…북, 민방위 열병식(종합)
북한이 정권 수립 기념일(9·9절) 75주년을 맞은 9일 0시부터 진행한 열병식에서는 정규군이 아닌 남측 예비군 격인 '노농적위군'이 전면에 나서면서 기존 열병식과는 다른 모습을 연출했다.

보통 북한이 열병식을 하면 등장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전략 무기 대신 트랙터나 트럭과 같은 '생활·노동' 장비들이 주로 등장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TV의 열병식 녹화 영상과 조선중앙통신 사진을 보면 각 지자체와 기업소, 대학 등에서 종대를 꾸려 행진했다.

선두에는 '수도당원사단종대'가 섰고 김일성종합대, 황해제철연합기업소, 국가과학원 종대 등이 뒤를 이었다.

트럭과 트랙터, 오토바이 등으로 구성된 '기계화 종대'가 눈길을 끌었다.

시멘트포대 아래에 방사포·생수트럭에 병력…북, 민방위 열병식(종합)
특히 '룡악산샘물' 공장 소속 차량과 시멘트 운반차량으로 위장한 트럭의 컨테이너에 방사포가 장착되고 무장 병력이 탑승한 모습이 포착됐다.

북한 매체들은 이를 '위장방사포병 구분대'라고 소개했다.

농기계인 트랙터가 무기를 끌거나 트레일러에 노농적위군 병사들이 대열을 맞춰 도열해 있는 모습, 오토바이 수십 대가 행진하는 장면도 담겼다.

행사 서두의 낙하산 부대와 비행기 편대의 축하비행, 명예위병들의 '무기기교' 등 부가적인 볼거리도 채워 넣으려 애쓴 모습이었다.

시멘트포대 아래에 방사포·생수트럭에 병력…북, 민방위 열병식(종합)
통신은 기계화 종대와 관련해 '신속한 기동력을 갖춘 모터사이클 종대', '트랙터들이 견인하는 반탱크미사일종대', '일터의 상공 마다에 철벽의 진을 친 고사포종대', '전투능력을 과시하는 위장방사포병종대'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행성의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전민 무장화, 전민 방위체계의 거대한 생활력과 위력한 실체", "현대전의 그 어떤 군사작전과 전투도 자립적으로 치를 수 있는 민방위 무력"과 같은 과장된 표현들로 찬사를 보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딸 주애와 '주석단 특별석' 중앙에 나란히 앉아 만면에 웃음을 띤 채 여러 차례 함께 얘기를 나누거나 박수를 치는 모습을 보였다.

박정천 당 군정지도부장이 한쪽 무릎을 꿇고 김주애에게 귓속말을 하는 장면도 포착됐다.

인파 속에서 행사를 지켜보는 외국인의 모습도 카메라에 짧게 담겼다.

류궈중 국무원 부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중국 당·정부 대표단과 알렉산드로브 명칭 러시아 군대 아카데미 협주단 단원들, 북한 주재 중국·러시아 외교 대표들이 열병식에 초대됐지만 부각되진 않았다.

7월27일 이른바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체결일) 열병식 당시 중국·러시아 대표단이 김 위원장 양옆에서 호위하듯 위치해 북중러 결속을 과시하던 것과는 다른 분위기였다.

시멘트포대 아래에 방사포·생수트럭에 병력…북, 민방위 열병식(종합)
북한의 이런 행사 연출은 이번 열병식이 신형·전략 무기를 등장시켜 대외적으로 존재감을 과시하기보다는 내부 결속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이날이 군이나 당 창건일이 아닌 '국가 수립'과 관련된 기념일이라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지난 2021년 73주년 9·9절에도 노농적위군 중심의 열병식을 진행한 바 있다.

노농적위군은 노동자·농민·사무원 등이 직장·행정단위 별로 편성된 민간 군사 조직으로 남한의 민방위와 유사하다.

북한은 17∼60세 남성과 미혼여성 중에서 핵심 예비군 조직인 '교도대'에 편입되지 않은 모든 주민을 노농적위군 편성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규모는 북한 인구의 4분의 1인 57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진다.

시멘트포대 아래에 방사포·생수트럭에 병력…북, 민방위 열병식(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