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만 인파 몰린 '미술 축제'…서울 '亞 아트 허브'로 자리매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막 내린 KIAF-프리즈, 세계 330여개 갤러리 집결
마지막날까지 현장 티켓 매진
직장인·학생도 즐기는 축제로
日·싱가포르 압도…홍콩 맞먹어
韓신진작가, 해외 컬렉터 '눈도장'
마지막날까지 현장 티켓 매진
직장인·학생도 즐기는 축제로
日·싱가포르 압도…홍콩 맞먹어
韓신진작가, 해외 컬렉터 '눈도장'
“글로벌 미술시장은 올해부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한국도 불황의 그늘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을 바라보는 미술계 안팎의 시선은 부정적이었다. 너도나도 미술품을 사들일 만큼 시장이 한껏 달아올랐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내리막길을 탔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 국내 미술 경매 거래액이 작년 상반기의 ‘반토막’이 되면서 이런 걱정은 더 커졌다.
지난 6일 시작해 닷새 동안 계속된 ‘KIAF-프리즈’(프리즈는 9일까지)는 이런 예측이 기우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프리즈서울을 찾은 관람객은 8만여 명. 아시아 최대 아트페어로 꼽히는 아트바젤 홍콩의 관람객 수와 맞먹는다. KIAF-프리즈의 전 일정 자유입장권이 1인당 20만원에 달했던 것을 감안하면 수준 높은 미술장터에 대한 수요가 그만큼 컸다는 의미다.
가장 큰 소득은 미술 대중화는 물론 전 세계에 서울이 명실상부 ‘아시아의 아트 허브’로 성장했다는 걸 보여줬다는 점이다. 올해 KIAF-프리즈의 참여 리스트에 올린 갤러리는 330여 개. 홍콩에 이은 ‘아시아의 넘버2 미술 수도’ 후보지로 서울과 함께 꼽혔던 싱가포르(아트SG·160여 개), 도쿄(도쿄 겐다이·80여 개) 아트페어를 압도했다. 관람객도 8만 명 이상으로 아트SG(4만여 명), 도쿄 겐다이(2만여 명)를 눌렀다.
타데우스로팍도 게오르그 바젤리츠의 회화(약 16억원)와 다니엘 리히터의 작품 두 점(각각 약 5억원)을 팔았다. 스푸르스 마거스는 아시아 컬렉터와 기관을 대상으로 로즈마리 트로켈의 ‘더 블루스’를 18억6000만원에, 하우저&워스는 니콜라스 파티의 회화를 16억7000만원에 판매했다. 국제갤러리는 한국 대표작가 작품을 대거 팔았다. 박서보 작품은 6억5000만~7억8000만원에, 하종현 작품은 3억~4억원에 새 주인을 맞았다.
KIAF-프리즈가 괜찮은 판매 성적을 낸 배경에는 ‘K컬처 열풍’이 있다. 세계 문화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한국을 직접 둘러보기 위해 전 세계 93개 기관의 큐레이터와 디렉터는 물론 ‘큰손’ 투자자들이 한국행(行) 비행기에 올랐기 때문이다. 프리즈 서울에 참여한 글로벌 메이저 화랑 가고시안의 닉 시무노비치 아시아 선임이사는 “작년에 비해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해외 관람객이 크게 늘어난 게 피부로 느껴진다”고 했다.
프리즈 서울 주최 측의 미숙한 운영은 올해도 ‘옥에 티’였다. 전시장에서 만난 한 중국인 컬렉터는 “서울이 일본·싱가포르 아트페어보다 낫지만, 아트바젤 홍콩에 비해선 외국인용 앱을 비롯한 관람객 안내, 편의시설 등이 부족하다”며 “쾌적한 관람과 작품 구입을 위해선 반드시 개선해야 할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선아/김보라 기자 suna@hankyung.com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을 바라보는 미술계 안팎의 시선은 부정적이었다. 너도나도 미술품을 사들일 만큼 시장이 한껏 달아올랐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내리막길을 탔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 국내 미술 경매 거래액이 작년 상반기의 ‘반토막’이 되면서 이런 걱정은 더 커졌다.
지난 6일 시작해 닷새 동안 계속된 ‘KIAF-프리즈’(프리즈는 9일까지)는 이런 예측이 기우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프리즈서울을 찾은 관람객은 8만여 명. 아시아 최대 아트페어로 꼽히는 아트바젤 홍콩의 관람객 수와 맞먹는다. KIAF-프리즈의 전 일정 자유입장권이 1인당 20만원에 달했던 것을 감안하면 수준 높은 미술장터에 대한 수요가 그만큼 컸다는 의미다.
서울, ‘亞 미술 수도’ 가능성↑
‘한 지붕 두 페어’를 표방한 KIAF와 프리즈의 동거는 두 번째 공동 개최 만에 단순히 그림을 사고파는 ‘미술품 장터’를 넘어 누구나 즐기는 ‘문화 축제’로 커졌다. 평일에 개막해 주말까지 이어진 행사엔 직장인은 물론 학생과 가족 단위 관람객까지 이어지며 현장 판매 티켓은 일찌감치 소진됐다. 폐막일 당일에도 오후까지 입장 줄이 길게 늘어섰다.가장 큰 소득은 미술 대중화는 물론 전 세계에 서울이 명실상부 ‘아시아의 아트 허브’로 성장했다는 걸 보여줬다는 점이다. 올해 KIAF-프리즈의 참여 리스트에 올린 갤러리는 330여 개. 홍콩에 이은 ‘아시아의 넘버2 미술 수도’ 후보지로 서울과 함께 꼽혔던 싱가포르(아트SG·160여 개), 도쿄(도쿄 겐다이·80여 개) 아트페어를 압도했다. 관람객도 8만 명 이상으로 아트SG(4만여 명), 도쿄 겐다이(2만여 명)를 눌렀다.
수억원대 작품도 인기
아트페어 성공의 바로미터인 판매 실적도 좋았다. 대형 갤러리들은 첫날부터 수억원대 작품을 잇따라 팔았다. 가장 비싼 건 데이비드 즈워너가 내놓은 쿠사마 야요이의 ‘붉은 신의 호박’이었다. 이 작품은 첫날 77억원에 주인을 찾았다.타데우스로팍도 게오르그 바젤리츠의 회화(약 16억원)와 다니엘 리히터의 작품 두 점(각각 약 5억원)을 팔았다. 스푸르스 마거스는 아시아 컬렉터와 기관을 대상으로 로즈마리 트로켈의 ‘더 블루스’를 18억6000만원에, 하우저&워스는 니콜라스 파티의 회화를 16억7000만원에 판매했다. 국제갤러리는 한국 대표작가 작품을 대거 팔았다. 박서보 작품은 6억5000만~7억8000만원에, 하종현 작품은 3억~4억원에 새 주인을 맞았다.
KIAF-프리즈가 괜찮은 판매 성적을 낸 배경에는 ‘K컬처 열풍’이 있다. 세계 문화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한국을 직접 둘러보기 위해 전 세계 93개 기관의 큐레이터와 디렉터는 물론 ‘큰손’ 투자자들이 한국행(行) 비행기에 올랐기 때문이다. 프리즈 서울에 참여한 글로벌 메이저 화랑 가고시안의 닉 시무노비치 아시아 선임이사는 “작년에 비해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해외 관람객이 크게 늘어난 게 피부로 느껴진다”고 했다.
세계 진출 교두보 된 KIAF
KIAF는 한반도에만 머물렀던 한국의 중견·신진 작가들을 글로벌 컬렉터에게 선보이는 무대 역할을 톡톡히 했다. 개막과 동시에 갤러리나우 부스에 걸린 고상우 작가(45)의 2900만원짜리 작품 4개는 ‘완판’됐다. 갤러리 스탠이 들고나온 1992년생 작가 샘바이펜의 작품도 첫날 3만3000달러(약 4400만원)에 판매됐다. 갤러리 이길이구가 선보인 1991년생 작가 권하나의 300만원짜리 작품 10개도 모두 주인을 찾았다.프리즈 서울 주최 측의 미숙한 운영은 올해도 ‘옥에 티’였다. 전시장에서 만난 한 중국인 컬렉터는 “서울이 일본·싱가포르 아트페어보다 낫지만, 아트바젤 홍콩에 비해선 외국인용 앱을 비롯한 관람객 안내, 편의시설 등이 부족하다”며 “쾌적한 관람과 작품 구입을 위해선 반드시 개선해야 할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선아/김보라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