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힙합·컨트리 장르 육성"
SM "카카오와 IP 가치 극대화"
JYP "5년전부터 美·日·中 현지화"
“미국에서 힙합, 라틴, 컨트리 등 다양한 장르의 현지 아티스트를 길러내겠다.”(이재상 하이브 전략총괄)
“카카오와 협력해 지식재산권(IP) 가치를 극대화하겠다.”(최정민 SM엔터테인먼트 최고글로벌책임자)
국내 대형 엔터테인먼트업체 핵심 경영진이 11일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3’ 행사에서 글로벌 기업으로 뻗어갈 주요 전략을 공개했다.
이재상 하이브 전략총괄(CSO)은 “글로벌 음악시장에서 K팝 비중은 5% 미만이며 미국의 매출 규모는 한국의 13배 이상”이라며 “국내가 아니라 해외를 목표로 삼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하이브만 보더라도 한국 시장 매출은 33%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매출은 북미(32%) 아시아(31%) 등에서 나온다”고 말했다.
하이브는 해외 사업 확대를 위해 넷플릭스처럼 현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이 CSO는 “해외 매출을 늘리기 위해 힙합, 라틴, 컨트리, 팝 등 다양한 장르의 현지 아티스트를 육성해 ‘멀티홈’ 마켓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국내 시장(홈마켓)처럼 안정적인 매출이 나오는 글로벌 현지 시장을 여러 개 키우겠다는 의미다. 또 “K팝 문화가 한때의 트렌드로 사라지지 않으려면 K팝 엔터기업이 아티스트만큼 팬덤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1일 서울 여의도동 콘래드호텔에서 개막한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3’에서 최정민 SM엔터테인먼트 CGO(왼쪽부터), 이재상 하이브 CSO, 심은지 JYP퍼블리싱 공동대표가 각각 K팝 글로벌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심은지 JYP퍼블리싱 공동대표도 “JYP는 ‘현지화를 통한 세계화’를 해외 사업의 기본 전략으로 삼고 있다”며 “이를 위해 2018년부터 일본 미국 중국 등에서 현지 K팝 스타를 육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아이돌그룹(니지프로젝트)과 중국 아이돌그룹(프로젝트C), 미국 걸그룹(A2K프로젝트) 등도 올해 데뷔할 JYP의 현지 아이돌그룹이다.
최정민 SM엔터테인먼트 최고글로벌책임자(CGO)는 “K팝 선구자인 SM엔터는 이미 회사에 대한 ‘팬덤’이 존재한다”고 자부했다. 그는 “SM엔터 특유의 음악 스타일과 퍼포먼스, 비주얼 등을 사랑하는 팬덤 ‘핑크 블러드’가 있다”고 했다. K팝이 뻗어나갈 수 있는 퍼블리싱(유통·서비스)과 IP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구상도 공개했다.
최 CGO는 “비핵심 자산을 유동화하고 그 자금을 자체 퍼블리싱 자회사에 투자했다”며 “거대 플랫폼인 카카오와 협력해 IP 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 대표는 “해외 작가와 활발히 협업하기 위해 퍼블리싱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주 우리 증시는 '딥시크'(DeepSeek)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협업 소식' 등으로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관련주가 지지했다. 이번주(2월10~14일) 미국에서 일부 AI 소프트웨어주 실적 발표가 예정된 만큼, 국내에서도 관련주 상승 모멘텀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과 중국의 보복정책 등은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9일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이번주 코스피 예상 흐름 범위를 2450~2580선으로 전망했다. 직전 거래일인 3일 코스피 종가는 2521.92다.지난주를 돌아보면 증시는 '관세 충격'으로 울고 웃었다. 트럼프가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하면서 지난 3일 주가가 크게 밀렸다. 하지만 관세 부과를 하루 앞두고 캐나다, 멕시코와 한 달간의 유예기간을 갖기로 합의하면서 주가가 반등했다. 이후 중국이 보복관세 부과를 발표했지만, 미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어서 코스피지수는 2500선을 회복했다.중국 딥시크 충격은 반도체 업종에는 악재였지만 네이버와 카카오 등 소프트웨어사에는 호재였다. 딥시크처럼, 낮은 비용으로 고성능의 AI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기대가 반영되면서다. 카카오의 경우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단 소식도 전해졌다.이번주도 AI 소프트웨어주가 주도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테크 실적 발표는 마무리 수순이지만 이번주 앱러빈(Applovin)과 데이터도그(Datadog) 등 AI소프트웨어 기업의 실적 발표가 남았다. 미국 AI 소프트웨어 기업의 호실적은 국내 소프트웨어 주가 모멘텀으로 이어질 수 있다.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AI 성장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는 말이다. 가짜뉴스 홍수 속 정보의 불균형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주식 투자 경력 18년 6개월의 ‘전투개미’가 직접 상장사를 찾아간다. 회사의 사업 현황을 살피고 경영진을 만나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한다. 전투개미는 평소 그가 ‘주식은 전쟁터’라는 사고에 입각해 매번 승리하기 위해 주식 투자에 임하는 상황을 빗대 사용하는 단어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그 누구보다 손실의 아픔이 크다는 걸 잘 알기에 오늘도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기사를 쓴다. <편집자주>“보험 비교 분석 서비스를 하고 있는 네이버·카카오·토스가 이젠 우리의 경쟁 상대입니다. 인공지능(AI)과 우수한 설계사들을 활용해 보험을 넘어 종합 자산관리 회사가 되겠습니다.”최병채 인카금융서비스(이하 인카금융) 회장(1961년생)은 지난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레이먼드 제임스 파이낸셜(투자금융사)’”이 되겠다고 밝혔다. 기업형 보험대리점(GA) 업계 빅2인 인카금융은 1999년 12월 국내 최초로 자동차보험 비교 서비스를 시작했고, 2007년 7월 설립한 회사다. 한국의 빅테크가 아직 오프라인 보험 시장에 진출하진 않았지만 언제든지 뛰어들 수 있기에 ‘큰 무대’(종합 자산관리)로 나가기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33에 있다. 지하철 2호선 뚝섬역 3번 출구에서 도보로 1분 거리에 있다. 손해·생명보험 32개 회사의 상품을 판매 및 중개하는 GA로서 2015년 코넥스 상장 후 2022년 2월 16일 코스닥 이전 상장했다. GA는 여러 보험
국내 증시가 탄핵 정국에 트럼프발(發) 관세 충격으로 흔들리는 상황 속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기술(IT) 대장주 네이버와 카카오는 AI 사업으로, 엔터주는 대표 아이돌 그룹의 활동 재개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다. 이들 업종은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 고환율 수혜를 볼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지수는 최근 한 달(7일 종가 기준)간 8.24% 오르며 KRX 지수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지수(1.34%)와 코스닥지수(3.47%)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현재 KR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지수 내 시가총액 상위 1~3위 종목은 네이버·카카오·크래프톤이다. 이들은 AI 사업에 대한 기대로 최근 한 달 동안에만 각각 8.15%, 13.67%, 10.53%씩 상승했다.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빅테크(거대 기술기업) AI 모델(메타 라마)의 10분의 1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선보이자 국내에선 네이버와 카카오가 조명을 받았다. 미국이 주도하던 AI 시장에서 후발주자들이 함께 경쟁하는 사업 환경이 펼쳐질 것이란 기대에서다.네이버는 국내에서 AI에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이다. 한국형 AI 모델 개발에 적합한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해 AI 사업을 진두지휘할 것이란 소식도 투자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카카오와 크래프톤 주가도 AI 사업에 대한 기대가 밀어올렸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4일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를 만나 AI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