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억 투자…김동연 "경기동부 불균형 해소, K-배터리 허브 역할 기대"

수도권의 대표적 규제 지역인 경기 동부권역 여주에서 신소재 이차전지 기업 '그리너지'가 11일 차세대 생산시설에 대한 공사를 시작했다.

신소재 이차전지 기업 그리너지, 여주에 차세대 생산시설 착공
그리너지는 1천억원을 투자해 내년 12월까지 여주시 점동면 장안리 2만6천870㎡ 부지에 연면적 8천400㎡ 규모의 신소재 이차전지 생산라인(여주공장)을 건립하기로 하고 이날 기공식을 했다.

기공식은 지난 2월 경기도와 투자 협약을 체결한 지 7개월 만이다.

그리너지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테슬라, 애플 등의 전기차와 이차전지 분야 엔지니어들이 2017년 2월 설립한 외국인 투자 스타트업이다.

이들이 개발한 리튬티탄산화물(LTO)은 기존 이차전지와 다르게 음극으로 사용되던 흑연을 대체하는 이차전지 신소재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우수한 안전성과 높은 효율성, 고출력과 고수명 등의 특장점이 있다.

여주시를 비롯한 경기 동부지역은 수도권정비계획법, 상수원보호구역, 팔당특별대책지역 등 규제 중첩지역으로 기업의 투자 유치가 쉽지 않은 곳이어서 이번 투자 유치가 더욱 의미가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투자 유치 과정에서 충청, 전라지역과 경쟁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154kW 변전소 2곳을 4년 내 여주에 신설하기로 한국전력과 협의하는 한편 기획재정부 소유 국유지 매입을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를 찾아 협조를 구하기도 했다.

도와 여주시는 이차전지 신소재 분야 핵심기술을 보유한 협력기업을 지속해서 유치해 동부지역을 K-배터리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기공식에 참석해 "이번 투자는 여주시 발전, 지역 불균형 해소, K-배터리 허브 기반 마련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 일대에 그리너지를 필두로 관련 협력업체가 함께 오면 대한민국 K-배터리 산업에 큰 기반과 허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소재 이차전지 기업 그리너지, 여주에 차세대 생산시설 착공
방성용 그리너지 대표는 "그리너지의 이차전지는 수명과 출력을 개선해 기존에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중장비, 버스, 농기계, 산업용 장비의 빠른 전동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시장에서 경기도 및 여주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