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승진 신임 도서관협회장 "도서관의 반대말이 외로움인 것 아시나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 곽승진 신임 도서관협회장
"도서관은 모든 세대의 문화공간
조용하게 책만 읽는 곳은 옛말"
AI시대엔 도서관 역할 더 커져
사서교사 늘려 독서교육 해야
"도서관은 모든 세대의 문화공간
조용하게 책만 읽는 곳은 옛말"
AI시대엔 도서관 역할 더 커져
사서교사 늘려 독서교육 해야

곽승진 신임 한국도서관협회장(충남대 문헌정보학과 교수)이 지난 7월 취임식에서 밝힌 협회의 기치다. 도서관에서 춤이라니. 복도 곳곳에 버젓이 ‘정숙’이란 팻말이 붙어 있는데….
1945년 조선도서관협회로 출발한 한국도서관협회는 전국 2만2000여 개 도서관을 대표하는 단체다. 독서운동 추진, 도서관 관련 통계 관리, 유관 기관과의 소통창구 등을 맡고 있다. 곽 회장은 올해 제31대 회장 선거에서 65%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임기는 2025년 7월까지 2년이다. LG상남도서관 개관 준비 때부터 일하며 실무를 익힌 곽 회장은 도서관 현장과 문헌정보학계를 잇는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곽 회장은 “책 구하기 어려운 시대엔 그저 책을 모아두고 읽을 장소를 제공하는 게 도서관의 존재 의미였지만, 시대가 변했다”며 “정보가 넘쳐나는 ‘미디어 홍수’ 시대에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읽는 장소 이상의 문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라우렌틴 왕자빈이 기조 강연에서 ‘도서관의 반대말은 외로움’이라고 하더군요. 도서관이 우리 사회에 왜 필요한지를 함축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네덜란드 공공 도서관을 가보니 알 수 있었어요. 노인들에게 도서관은 건강, 재테크 등 여러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이자 또래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장소더군요. 어린이와 청소년 강좌도 많습니다. 한마디로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리는 문화공간인 거죠.”
곽 회장은 같은 이유로 인공지능(AI) 시대에 도서관 기능이 오히려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흔히 AI를 ‘내 손 안의 도서관’이라고 하지만,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을수록 그 정보를 제대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진다”며 “AI 활용 교육, AI 문해력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고 협회에 AI디지털혁신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곽 회장은 “지금 상황은 학교 보건실에 보건 교사 없이 약만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책 편식과 ‘정신적 영양 부족’을 예방하려면 사서 교사의 전문적 독서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책을 많이 뒀다고 도서관인 건 아닙니다. 도서관은 국민에게 가장 문턱이 낮은 문화 공간이에요. 출판 생태계의 선순환도 도서관 혁신을 통해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도서관 강연을 통해 미래 작가를 키워내면 좋은 책이 더 많이 나올 거고, 그러면 책이 더 많이 팔리고, 이에 따라 좋은 작가가 더 나올 테니까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