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서리풀공원에 10만점 전시 '갤러리형 수장고' 생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법원 인근 2028년 개관
서울시 산하 박물·미술관 4곳
대규모 소장품 일반인에 공개
세계 건축가 7명 '디자인大戰'
'판뵈닝언' 수장고 밑그림 그린
네덜란드 설계사와 유현준 등
공개발표 이후 연내 선정 계획
서울시 산하 박물·미술관 4곳
대규모 소장품 일반인에 공개
세계 건축가 7명 '디자인大戰'
'판뵈닝언' 수장고 밑그림 그린
네덜란드 설계사와 유현준 등
공개발표 이후 연내 선정 계획
![< ‘보이는 수장고’ 부지 > 서울시는 국내 최초로 ‘보이는 수장고’를 서울 서초동 서리풀공원 부지에 건립한다고 12일 밝혔다. 오세훈 시장이 네덜란드 로테르담시 보이만스 판뵈닝언 미술관의 수장고 ‘데포(the depot)’에서 깊은 인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혁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489552.1.jpg)
일반인은 물론 박물관 학예사, 미술관 큐레이터에게도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던 수장고를 대중에게 공개하는 세계적인 미술관과 박물관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전시 패러다임이 소유에서 공유로, 예술 애호가들의 취향이 수집에서 활용으로 바뀌고 있는 데다 보안과 전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 로테르담 보이만스 판뵈닝언 미술관의 ‘데포’, 런던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등이 ‘개방형 수장고’로 유명하다.
2028년 서울에도 개방형 수장고가 문을 열 전망이다. 서울시는 ‘펀 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리풀 미술관형 수장고’ 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설계 공모에 나선다.
네덜란드 ‘데포’ 벤치마킹
![서초 서리풀공원에 10만점 전시 '갤러리형 수장고' 생긴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491438.1.jpg)
![< 오세훈이 반한 ‘판뵈닝언’ > 세계 최고의 개방형 수장고로 꼽히는 네덜란드 로테르담시 보이만스 판뵈닝언 미술관의 수장고 ‘데포(the depot)’. 반사 유리로 둘러싸인 그릇 모양의 형태가 돋보인다. 이 수장고는 15만 점 이상의 작품을 수장·관리한다. 판뵈닝언 미술관 홈페이지](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490616.1.jpg)
데포는 문자 그대로 공간(창고)이자 미술품과 관객, 예술 그 자체를 담는 그릇이라는 의미라는 게 미술관 측 설명이다. 데포는 작년 한 해에만 26만 명이 방문하는 등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작년 10월 유럽 출장길에 데포를 방문한 뒤 깊은 인상을 받았다는 후문이다.
국내외 유명 건축가 7팀 디자인 대결
서울시는 서리풀 수장고를 데포에 버금가는 열린 예술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가장 공들이는 건 디자인이다. 일곱 곳의 국내외 건축가·사무소에서 외관 설계를 제안받아 시민 참여 형태로 올해 말 최종 설계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해외에선 데포를 설계한 세계적 건축사무소 MVRDV(네덜란드)를 비롯해 헤르조그 드 뫼롱(스위스), 포스터앤드파트너스(영국), 3XN(덴마크) 등 네 곳이 아이디어(시안)를 내기로 했다. 헤르조그 드 뫼롱은 영국 런던의 현대미술관 테이트모던과 중국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설계로 유명하다. 포스터앤드파트너스는 전 세계 애플스토어를 만든 곳이다. 3XN은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를 설계했다.국내 건축가 중에선 유현준 홍익대 교수와 YG 사옥을 설계한 임재용, 강남부띠크모나코를 설계한 조민석 건축가가 참여한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보이는 수장고를 도시경쟁력을 상징하는 창의적 건축이자, 서울 하면 떠오르는 랜드마크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장고 안의 콘텐츠에도 공들일 예정이다. 학예사와 연구자만 접근할 수 있었던 시 산하 박물관과 미술관 네 곳(역사박물관 시립미술관 공예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의 대표 소장품 10만 점을 다양한 동선으로 전시할 계획이다.
정지희 서울시 박물관기반확충팀장은 “서리풀 수장고는 미술품의 보존 처리 과정을 100% 일반에 공개하는 국내 최초 사례가 될 것”이라며 “예술품 보존과학자를 꿈꾸는 예술학도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이는 수장고 건립 협약식에 참석한 김창규 서울시 도시공간기획담당관(왼쪽부터)과 이현주 서울시 공공자산담당관, 김동구 서초구 도시관리국장, 배희정 서울시 박물관과장,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 전성수 서초구청장, 김의승 서울시 행정1부시장, 이동준 SBC PFV 대표이사, 구명환 MDM+ 대표이사, 김태현 MDM+ 부장, 이영환 이지스자산운용 차장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 서울시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01.34494092.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