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건설업계 덮친 '수주 가뭄'…"자금난 호소" 32년만 최대
독일에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주택건설업체 비중이 3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5곳 중 1곳꼴로 신규 건설 프로젝트가 취소되고 있으며 절반가량은 ‘수주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경기 침체에 동반한 부동산 시장 위기가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뮌헨에 위치한 Ifo 경제연구소가 500개 주택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응답 기업 중 20.7%가 금리 상승과 원가 급등, 수요 위축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건설 프로젝트를 취소할 수밖에 없었다고 답했다. 지난해 초 10%를 돌파한 이 수치는 올해까지 고공행진을 지속해 지난 7월 18.9%를 기록한 뒤 20%를 넘어섰다.

올해 8월 신규 수주량을 채우지 못했다고 신고한 기업 비율은 44.2%에 달했다. 1년 전 같은 기간(13.8%) 대비 세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 초 10% 수준이었던 이 수치는 올해 들어 20% 중반대로 뛴 후 단숨에 40%까지 돌파했다.
자료=파이낸셜타임스
자료=파이낸셜타임스
응답 기업 중 12%가량이 자금난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Ifo 경제연구소가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91년 이래 가장 높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Ifo 경제연구소의 클라우스 볼라베는 “점점 더 많은 기업이 파산할 가능성이 매달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 짓기에만 집중해 온 소규모 건설사들 사이에서 위기가 특히 심각하다는 경고다. 볼라베는 “몇몇 회사들은 이미 머리만 수면 위로 간신히 내놓고 있는 수준”이라며 “도로나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진출한 (비교적 큰 규모의) 기업들은 다행스럽게도 어떤 식으로든 다양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독일에선 최근 몇 주 새 다수의 주택개발업체가 줄파산했다. 뒤셀드로프에서만 게르히, 센트룸그룹, 디벨롭먼트파트너 등 세 곳이 지급 불능 상태에 이르렀고, 뮌헨의 유로보덴, 뉘른베르크의 프로젝트이모빌리엔그룹 역시 파산 대열에 합류했다. 보노비아, 어라운드타운 등 대형 임대업체들은 모든 신규 건설 프로젝트를 취소하고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대폭 축소했다.

물가 상승으로 주택 건설 비용이 급격히 뛴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건설 비용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인 2020년 초 대비 38.5% 치솟은 상태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촉발된 에너지 위기로 독일 정부가 에너지 효율 규제를 강화하면서 건설업계에 지급되던 정부 보조금도 대폭 줄었다.
자료=파이낸셜타임스
자료=파이낸셜타임스
여기에 더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유럽중앙은행(ECB)이 전례 없는 긴축 정책에 돌입하면서 신규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억제됐고, 집값은 내리막길을 걸었다. 올해 2분기 독일 내 신규 건축 허가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34% 급감했다. FT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전체에서 허가증 발급 건수가 후퇴했지만, 그 속도는 독일에서 유독 빨랐다”고 전했다.

볼라베 연구원은 “다수의 회사가 금리 인상 이전에 체결된 수주로 버텨내고 있다”며 “독일 건설사 대다수는 향후 6개월간 신규 사업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짚었다.

지난해 독일에선 29만5300채의 주택이 새로 지어졌는데, 이는 연간 40만채를 새로 공급하겠다는 독일 정부의 목표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업계에선 올해와 내년 준공 건수가 작년 대비 큰 폭으로 줄어들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독일에선 현재 주택 수요 대비 공급 부족분이 70만채에 달한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