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글로벌 한국' 준비돼 있나
가까운 지인이 사는 서울 잠원동은 들락날락한 지 10년이 된 꽤나 익숙한 동네다. 정확히는 지하철 3호선 잠원역 근처의 아파트촌이다. 아는 독자도 많겠지만, 여기는 ‘그냥 주거지’다. 유흥시설, 식당, 카페 같은 게 거의 없어 차분하기 이를 데 없다.

그런데 최근 1~2년 새 이 동네를 방문할 때면 비현실적인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다. 잠원역을 나와 휴대폰을 쳐다보며 어디론가 향하는 외국인이 부쩍 늘었다. 올림픽대로 방면으로 한강 구경 가겠다고 아침 일찍부터 4~5명씩 짝지어 다닌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광경이어서 ‘저 친구들은 이 동네까지 왜 왔지’란 생각이 절로 든다.

명실상부한 전세계적 'K열풍'

소위 K열풍이 거슬렸던 적이 있다. ‘실체가 모호하다’고 여긴 온갖 움직임에 K를 다 갖다 붙이니, ‘이런 침소봉대가 또 있나’ 싶었다. 지금은 아니다. 잠원동 외국인들에게서부터 열풍의 일단을 어렴풋이 느낀다.

취재 현장에서 만나는 글로벌 기업 임직원의 움직임은 이보다 더 명백한 증거다. 코로나19 창궐 후 한국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해외 패션 브랜드를 보면서까지 ‘우리가 이렇게 중요한 존재가 됐다’며 자위할 필요는 없다.

그런 구석이 없지 않더라도 한국인들은 지난해 명품에 세계에서 돈을 가장 많이 쓴 VIP 고객(모건스탠리 추정 1인당 325달러)이다. 가까운 거리에서 최상의 서비스를 받게 된 건 당연한 결과다.

이보다 더 주목할 만한 것은 비행기로 10시간 이상 걸리는 북미, 유럽 등 선진국에서까지 “트렌디한 한국에 꼭 가보고 싶다”는 해외 기업 임직원이 부쩍 늘었다는 점이다. 자타공인 최고 명품 에르메스의 프랑스 본사에서 멀리 한국 근무를 자청하는 직원이 나오는 건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지금은 엄연한 현실이다.

포시즌스, 코카콜라 같은 유수 기업의 직원들이 포상 연수지로 스페인, 이집트 등 관광 대국 대신 한국을 첫손에 꼽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실상이 이러니 많은 경제인이 “한국이 또 한 번 비상할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고 입을 모은다.

바뀐 위상 못 좇는 사람들

과거 한국의 영광을 이끈 상당수 산업이 중국에 추월당했다. 배터리, 반도체 등 미래 먹거리마저 위태로운 실정이다. 그래서 이런 움직임이 더 반가운 것이다. 언제든 시도했어야 할 문화·서비스 강국으로의 변신에 천군만마를 얻은 것과 다를 바 없어서다. 이 나라 위정자들은 ‘BTS’, ‘블랙핑크’에 엎드려 수백 번 절을 해도 모자라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난데없는 단식 투쟁에 이념·선거 공작 논란까지. 미래 아젠다를 제시하기는커녕 수십 년 퇴행한 정치권 행태는 K콘텐츠가 깔아놓은 꽃길에 오물만 뿌리고 있다. 마치 국가 경쟁력 자해 경쟁이라도 펼치는 듯하다.

정부라고 다를 바 없다. 이런 시기라면 중앙정부가 꼭 선점했어야 할 영어 공용화 이슈에 복지부동하다가 부산시·인천시 등 지방자치단체에 빼앗겨버렸다. ‘4류 정치’, ‘3류 관료’는 바뀐 게 없다.

한번 물어보고 싶다. 성큼 다가온 ‘글로벌 한국’을 이끌 준비는 돼 있나. 그럴 실력이 있기는 한가. 제대로 된 답이 돌아올 리 만무하다. 아무리 희망회로를 돌려봐도 다른 반응이 기대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