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멘이 '스토킹 피해자'였다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극단 카르멘
돈 호세가 악녀에 홀린 게 아니라
'팜파탈' 카르멘 살해범으로 묘사
돈 호세가 악녀에 홀린 게 아니라
'팜파탈' 카르멘 살해범으로 묘사
‘팜파탈’(치명적인 여성)의 대명사 카르멘은 어쩌면 지독한 스토킹의 피해자일 수 있지 않을까.
세종문화회관 산하 서울시극단의 신작 ‘카르멘’(사진)은 집시 여인 카르멘의 치명적인 매력에 빠져 파멸에 이르는 돈 호세의 사랑을 그린 비극적 이야기다. 1845년 프로스페르 메리메가 쓴 원작소설과 이를 바탕으로 30년 뒤 발표된 조르주 비제의 오페라로 잘 알려진 작품이다.
고선웅 서울시극단장이 각색한 이번 연극은 오페라와 비교해 가해자로서의 돈 호세와 피해자 카르멘의 모습을 더 강조했다. 이 작품의 결말 부분에서 돈 호세는 카르멘이 자신에게 질리고 다른 사랑이 생겼다는 말을 듣고 절망해 그를 찔러 죽인다.
오페라에선 돈 호세를 ‘나쁜 여자’에게 당한 피해자로, 즉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번 연극에선 그의 집착과 광기를 더욱 강조했고, 동시에 자유를 갈망했지만 이루지 못하고 죽은 카르멘을 동정한다. 마지막에 카르멘을 죽이고 “내가 카르멘을 가졌다”고 외치는 돈 호세의 대사에 이 모든 게 담겨 있다.
고 단장은 “카르멘은 자유를 추구했을 뿐인데 원작에선 나쁜 여자로만 그려지는 게 아쉬웠고, 반대로 카르멘에 대한 사랑이 집착과 광기로 변한 돈 호세에겐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는 점에 관객이 공감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각색했다”고 말했다.
카르멘과 돈 호세 외에 다른 캐릭터가 더욱 풍성해진 것도 눈에 띈다. 원작에는 등장하지만 오페라 대본에는 없는 카르멘의 전 남편 가르시아와 카르멘의 새로운 사랑 투우사 루카스의 비중이 커졌다. 카르멘을 둘러싼 여러 유형의 남성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장치다.
시적인 대사가 특징이다. 연극적 과장이 버무려진 대사는 낯설고 어색하지만 예술적이란 느낌을 준다. 공연은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오는 10월 1일까지 열린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세종문화회관 산하 서울시극단의 신작 ‘카르멘’(사진)은 집시 여인 카르멘의 치명적인 매력에 빠져 파멸에 이르는 돈 호세의 사랑을 그린 비극적 이야기다. 1845년 프로스페르 메리메가 쓴 원작소설과 이를 바탕으로 30년 뒤 발표된 조르주 비제의 오페라로 잘 알려진 작품이다.
고선웅 서울시극단장이 각색한 이번 연극은 오페라와 비교해 가해자로서의 돈 호세와 피해자 카르멘의 모습을 더 강조했다. 이 작품의 결말 부분에서 돈 호세는 카르멘이 자신에게 질리고 다른 사랑이 생겼다는 말을 듣고 절망해 그를 찔러 죽인다.
오페라에선 돈 호세를 ‘나쁜 여자’에게 당한 피해자로, 즉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번 연극에선 그의 집착과 광기를 더욱 강조했고, 동시에 자유를 갈망했지만 이루지 못하고 죽은 카르멘을 동정한다. 마지막에 카르멘을 죽이고 “내가 카르멘을 가졌다”고 외치는 돈 호세의 대사에 이 모든 게 담겨 있다.
고 단장은 “카르멘은 자유를 추구했을 뿐인데 원작에선 나쁜 여자로만 그려지는 게 아쉬웠고, 반대로 카르멘에 대한 사랑이 집착과 광기로 변한 돈 호세에겐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는 점에 관객이 공감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각색했다”고 말했다.
카르멘과 돈 호세 외에 다른 캐릭터가 더욱 풍성해진 것도 눈에 띈다. 원작에는 등장하지만 오페라 대본에는 없는 카르멘의 전 남편 가르시아와 카르멘의 새로운 사랑 투우사 루카스의 비중이 커졌다. 카르멘을 둘러싼 여러 유형의 남성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장치다.
시적인 대사가 특징이다. 연극적 과장이 버무려진 대사는 낯설고 어색하지만 예술적이란 느낌을 준다. 공연은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오는 10월 1일까지 열린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