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정부 외교정책원칙 연설…"美 글로벌리더십, 짐이 아니라 필수"
블링컨 "캠프 데이비드 회의로 한미일 관계 넥스트 레벨 도달"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13일(현지시간)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와 관련, "합동 군사훈련과 정보 공유부터 국제적인 인프라 투자 조정에 이르기까지 3국 관계의 모든 측면을 넥스트 레벨로 끌어 올렸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진행한 바이든정부의 외교정책 일반에 대한 연설에서 대륙 및 이슈별로 동맹 및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또 "미국은 핵심적인 양자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고 말한 뒤 예를 거론하면서 "우리는 북한의 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려고 한국과 워싱턴 선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 "러시아의 침공으로 국제질서에 대한 공격은 한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면서 "우리는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대서양 동맹국과 인도·태평양 동맹국이 긴밀하게 연결했다"며 한국, 일본 등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 등의 사례로 언급했다.

그는 "푸틴의 전쟁은 계속해서 러시아의 전략적 실패가 되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가 생존하는 것뿐만 아니라 활기차고 번영하는 민주주의 국가로 번창해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또 지난해 발표한 '투자·제휴·경쟁'으로 요약되는 대(對)중국 전략을 소개하면서 "우리는 어느 때보다 긴밀하게 협력하고 조율된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다"며 "이는 우리가 중국과의 경쟁을 유리한 위치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블링컨 장관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당면 위협으로, 중국을 장기적이면서 전략적인 도전자로 규정한 국가안보전략(NSS) 내용을 재언급하면서 "우리의 경쟁자들은 세상을 체제 유지 및 강화로 정의하고 있다"면서 "이는 목표를 방해하는 자국민, 이웃 국가 등을 통제하고 짓밟을 수 있는 세상"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미국의 국제기구 참여와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기구들이 불안전하더라도, 미국 국민에게 중요한 문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이들 기구의 정당성과 역량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기존 질서는 단지 서방의 이익만 진전시키고 있다며 다국적인 협력체제의 기둥을 무너트리거나 다시 만들려고 할 때 점점 더 많은 국가와 사람들이 이에 반대해서 일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그는 바이든 정부의 대외 관여 정책과 관련, "우리는 연방 예산의 1% 미만을 외교와 국제개발 업무에 사용하면서 미국 국민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여기에는 미국 근로자와 기업을 위한 더 많은 시장, 미국 소비자를 위한 더 저렴한 상품, 주유소와 밥상 물가 인하, 더 강력한 보건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은 짐이 아니라 필수"라면서 "이는 미국의 자유와 민주주의, 안보를 수호 미국 기업체와 근로자의 기회를 창출할 것이며 미국 국민의 삶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