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첫날 25% 폭등한 ARM…"반도체 열기로 고평가" 지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美 기업공개 '최대어'
모바일용 반도체 설계서 독보적
'황금알 낳는 거위'로 평가받아
강력한 수요 몰리며 흥행 성공
기업가치 과대평가 논란
시가총액 단숨에 652억달러
주가매출비율 24배…MS의 두배
AI와 관련 없다는 평가도 나와
모바일용 반도체 설계서 독보적
'황금알 낳는 거위'로 평가받아
강력한 수요 몰리며 흥행 성공
기업가치 과대평가 논란
시가총액 단숨에 652억달러
주가매출비율 24배…MS의 두배
AI와 관련 없다는 평가도 나와

○ARM 상장 첫날 주가 25% 폭등

ADVERTISEMENT
ARM은 상장 전날 최종 공모가를 희망가 범위(47∼51달러) 최상단에 해당하는 51달러로 책정했다. 모바일용 반도체 설계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가진 ARM에 투자자들의 강력한 수요가 몰리면서 상장 흥행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선 ARM을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반도체 기본 설계도인 ‘아키텍처’를 만들어 삼성전자를 비롯해 애플, 퀄컴, 화웨이, 미디어텍 등 세계 1000여 개 기업에 공급하고 있어서다. 스마트폰의 두뇌로 여겨지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중 90% 이상이 ARM 설계를 사용하고 있다.
ADVERTISEMENT
○실적 대비 고평가 논란
ARM의 최대 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은 이번 IPO를 통해 48억7000만달러를 조달했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그룹은 2016년 ARM 지분 전량을 320억달러에 인수했다. 14일 종가를 기준으로 ARM 기업가치가 두 배가량 증가한 것이다.하지만 손 회장이 ARM을 인수했을 당시 기대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손 회장은 7년 전 ARM에 투자하면서 “5년 안에 기업가치를 다섯 배 이상 증가시킬 것”이라고 장담했다. 7년 전 인수가에 비해 14일 시가총액은 103.7% 늘었다. 손 회장의 예측이 빗나간 것이다. 이미 스마트폰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기가 지나갔고, 사물인터넷(IoT) 시장의 성장성도 악화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RM에 맞서는 초전력 반도체 설계 기술이 나오고 있는 점도 변수다. 오픈소스인 ‘리스크 파이브(RISC-V)’ 기술이 대표적이다. 고가의 로열티(특허료)를 지급해야 사용할 수 있는 ARM 아키텍처와 달리 리스크 파이브 기술은 무료다. ARM과 달리 설계자산(IP)을 마음껏 변용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ARM과 AI의 연관성이 크지 않다는 평가도 있다. ARM이 지금껏 AI에 최적화된 핵심 반도체 기술을 선보인 적이 없어서다. AI 반도체와 직결되는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 중앙처리장치(CPU)용 IP 시장 점유율은 각각 10.1%, 16.2% 수준이다. 커크 부드리 아스트리스어드바이저리 재팬 애널리스트는 “오픈AI가 대형 언어 모델(LLM)을 활용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도구를 내놓으면서 AI 열기가 확산했지만, 이 광풍은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이 주도했다”며 “ARM은 사실 AI와 전혀 관련이 없다”고 지적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