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9~20일(현지시간)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연준의 성명과 기자회견에서 매파 성향이 확인될 경우, 금리 동결과는 별개로 시장은 요동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5.25~5.5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국 선물시장 트레이더의 98%는 연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는 11월 금리 동결 가능성도 73.1%까지 높아졌다.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압도적인 만큼, 시장은 향후 금리의 방향성을 암시하는 메시지를 찾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입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11월 금리 인상을 예고하거나 긴축 완화 시점을 늦추는 등의 매파 성향 발언이 나올 경우 시장은 하방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최대 변수는 최근 이어지고 있는 고유가 추세다. 15일(현지시간) 기준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90.77달러, 두바이유는 93.56달러를 기록하며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유가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중시하는 지표인 근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수로 꼽힌다.

근원 물가와 관련한 우호적인 지표도 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3년 7개월간 유예했던 학자금 대출 상환이 9월부터 재개되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은 보고서에서 학자금 상환이 재개되면 1인당 314달러의 구매력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력이 줄어들며 초과 저축이 소진되는 상황은 근원 물가를 낮추는데 우호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유가'와 '초과저축 소진'이라는 변수가 혼재된 상황에서 고유가는 추가 금리 인상이 아닌 긴축을 길게 이어가는 명분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9월 회의에서 유가를 언급하며 매파적 기조를 보일 것"이라며 "이는 높은 기준금리를 길게 이어가려는 연준의 목표(Higher for Longer)와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전효성 기자 z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