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 중산간 지대의 마을 공동목장을 보존 및 지원하기 위해 정책 마련에 나선다. 제주의 마을 목장은 부동산 개발 분위기 속에 잇따라 팔려나가 고유의 목축문화도 사라져가고 있다.

18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제주 마을 공동목장 보존·지원 방안 용역’에 들어가 2024년 6월까지 추진하기로 했다. 제주의 마을 공동목장은 부동산 개발과 재산세 상승으로 매각이 늘어나는 추세다. 조합원 고령화와 양축농가 감소, 목장 운영수익이 안정적으로 나오지 않는 점 등도 목장 수가 줄어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생태·환경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목장 운영방안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용역 사업비 6600만원을 들여 종합적이고 전반적인 목장 보존 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 제주의 마을 공동목장은 해발 200~600m 중산간 들녘에 분포한다. 고려시대부터 군마 공급용 목장으로 조성돼 운영돼 왔다. 일제강점기엔 수탈을 위한 공동목장 조합이 조직되기도 했다.

1980년대 이후 농기계 발전과 집약적 축산 기술이 도입되면서 방목 형태의 공동 목축에 참여하는 마을 주민이 줄어 공동목장의 활용도가 떨어졌다. 2000년대 들어서는 부동산 개발 분위기를 타고 목장 용지 매각 붐이 일었다. 1940년대 120여 곳이던 마을 공동목장은 현재 50여 곳만 남았다. 고지대에 있는 마을 공동목장이 농업용으로 활용되지 못한 것도 감소의 이유다.

문경삼 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연구용역을 통해 공동목장별 목축문화 보존 및 활용 상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지역주민 소득 창출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