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사실주의 작가들의 등장…"현실의 밥벌이를 치열하게 쓰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책 리뷰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김의경 등 11인 지음
문학동네
376쪽│1만7000원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김의경 등 11인 지음
문학동네
376쪽│1만7000원
"오늘날에도 문학이 여전히 가치 있다면, 그 이유를 뭐라고 설명하나요?"
요즘 소설가들을 인터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질문이다. 문학 혹은 문학하는 사람들이 존재 의미에 대한 질문을 자꾸 받는 건 영상매체의 인기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해 동료 작가 10명과 '월급사실주의'라는 문학 동인을 꾸린 소설가 장강명은 "문학에 힘이 없는 게 아니라 '힘 있는 문학'이 줄어든 것 아닌가"란 질문을 스스로와 동료들에게 던진다. 시대의 풍경을 적확하게 담아내는 작품이 늘어나야 문학의 의미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월급사실주의'가 찾은 실마리는 '월급', 즉 먹고 사는 이야기에 있다. 이들의 창작 규칙은 세 가지다. 첫째, 한국사회의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는다. 둘째, 수십 년 전이나 먼 미래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현장을 다룬다. 셋째, 판타지를 쓰지 않고, 발품을 팔아 사실적으로 쓴다.
장강명 작가와 뜻을 함께 한 작가는 김의경, 서유미, 염기원, 이서수, 임성순, 정진영, 주원규, 지영, 최영, 황여정 등 11명. 모두 직장인으로 '월급쟁이'의 삶을 경험해본 작가들이다. 이들이 우리 시대의 밥벌이를 다룬 소설을 엮어 첫 동인지 소설집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를 최근 출간했다. '월급사실주의자'들은 각각 1편의 단편소설을 실었다. 비정규직 근무, 자영업자, 플랫폼 노동, 프리랜서는 물론 가사, 구직, 학습 등 '지금, 여기'의 노동 현장이 담겨 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오늘 아침 출근길 지하철에서 내 어깨를 스쳐간 사람처럼 익숙하고도 생생하다. 그럼에도 어떤 문장들은 단순한 현실 재연 그 이상을 보여준다.
예컨대 김의경 작가의 '순간접착제'에서 주인공 '나'는 친구 예은과 대학을 휴학하고 돈을 벌기 위해 삼각김밥 공장에서 일한다. 이들이 마카롱 카페 일자리를 잃고 공장으로 향하게 된 건 코로나19로 카페 매출이 쪼그라들자 사장이 아르바이트 시간을 줄였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순간접착제 같은 거네요? 카페가 망하지 않게 최소한만 일을 시켜서 임시로 지탱하는 거잖아요." 돈을 아끼려 다 떨어진 운동화 밑창을 순간접착제로 붙이며 버티던 예은은 사장에게 이렇게 말한다. 악의를 가진 자는 아무도 없지만 각자의 자리가 서로의 밥벌이를 위협하는 순간들을 소설은 포착해낸다.
부제는 '월급사실주의 2023'. 장 작가는 "이 기획이 잘 되면 동인 작가를 충원해가며 '월급사실주의 2024' '월급사실주의 2025' 하는 식으로 작업을 이어나가고 싶다"며 "한국 소설가들이 동시대 현실에 문제의식을 갖고 쓴 소설이 그렇게 쌓이면 멋지겠다"고 했다.
장 작가는 서문 역할을 하는 '기획의 말을 대신하여'를 이렇게 맺었다. "치열하게 쓰겠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요즘 소설가들을 인터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질문이다. 문학 혹은 문학하는 사람들이 존재 의미에 대한 질문을 자꾸 받는 건 영상매체의 인기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해 동료 작가 10명과 '월급사실주의'라는 문학 동인을 꾸린 소설가 장강명은 "문학에 힘이 없는 게 아니라 '힘 있는 문학'이 줄어든 것 아닌가"란 질문을 스스로와 동료들에게 던진다. 시대의 풍경을 적확하게 담아내는 작품이 늘어나야 문학의 의미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월급사실주의'가 찾은 실마리는 '월급', 즉 먹고 사는 이야기에 있다. 이들의 창작 규칙은 세 가지다. 첫째, 한국사회의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는다. 둘째, 수십 년 전이나 먼 미래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현장을 다룬다. 셋째, 판타지를 쓰지 않고, 발품을 팔아 사실적으로 쓴다.
장강명 작가와 뜻을 함께 한 작가는 김의경, 서유미, 염기원, 이서수, 임성순, 정진영, 주원규, 지영, 최영, 황여정 등 11명. 모두 직장인으로 '월급쟁이'의 삶을 경험해본 작가들이다. 이들이 우리 시대의 밥벌이를 다룬 소설을 엮어 첫 동인지 소설집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를 최근 출간했다. '월급사실주의자'들은 각각 1편의 단편소설을 실었다. 비정규직 근무, 자영업자, 플랫폼 노동, 프리랜서는 물론 가사, 구직, 학습 등 '지금, 여기'의 노동 현장이 담겨 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오늘 아침 출근길 지하철에서 내 어깨를 스쳐간 사람처럼 익숙하고도 생생하다. 그럼에도 어떤 문장들은 단순한 현실 재연 그 이상을 보여준다.
예컨대 김의경 작가의 '순간접착제'에서 주인공 '나'는 친구 예은과 대학을 휴학하고 돈을 벌기 위해 삼각김밥 공장에서 일한다. 이들이 마카롱 카페 일자리를 잃고 공장으로 향하게 된 건 코로나19로 카페 매출이 쪼그라들자 사장이 아르바이트 시간을 줄였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순간접착제 같은 거네요? 카페가 망하지 않게 최소한만 일을 시켜서 임시로 지탱하는 거잖아요." 돈을 아끼려 다 떨어진 운동화 밑창을 순간접착제로 붙이며 버티던 예은은 사장에게 이렇게 말한다. 악의를 가진 자는 아무도 없지만 각자의 자리가 서로의 밥벌이를 위협하는 순간들을 소설은 포착해낸다.
부제는 '월급사실주의 2023'. 장 작가는 "이 기획이 잘 되면 동인 작가를 충원해가며 '월급사실주의 2024' '월급사실주의 2025' 하는 식으로 작업을 이어나가고 싶다"며 "한국 소설가들이 동시대 현실에 문제의식을 갖고 쓴 소설이 그렇게 쌓이면 멋지겠다"고 했다.
장 작가는 서문 역할을 하는 '기획의 말을 대신하여'를 이렇게 맺었다. "치열하게 쓰겠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