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메모리 주차 지원'.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 '메모리 주차 지원'.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2021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MPS)의 성능 개선 버전인 'MPS 1.0P(프리미엄)' 개발에 성공했다고 19일 발표했다.

대표적인 기능은 '메모리 주차 지원(MPA)'이다. 운전자가 경로 학습 모드로 주차를 실행하면 차량이 이를 스스로 학습한다. 이후부터는 해당 주차 공간에서 운전자가 원터치 조작만으로 자율 주차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의 핵심은 영상 기반 센서 퓨전이다. 초음파센서와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 카메라를 융합한 덕분이다. 이를 통해 얻은 정보로 차량의 위치측정과 지도 생성을 동시에 하는 첨단기술도 적용했다.

회사 관계자는 "로봇공학에서 유래한 이러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였다"며 "100m에 이르는 저장 거리를 지원하는 주행 보조 기능을 구현했다"고 말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기술이 지정 주차구역이나 개인 차고지 등이 상대적으로 일반화돼 있는 유럽이나 중국 등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미리 학습된 주행 경로를 바탕으로 동일한 장소에 원격 주차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대모비스 '메모리 주차 지원'.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 '메모리 주차 지원'. /현대모비스 제공
고가 부품인 레이더, 라이더 센서 없이도 초음파와 SVM 카메라만으로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을 구현한 것도 특징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술적 완성도는 물론 비용 측면에서도 우위에 있다"며 "글로벌 수주는 물론 일반 차량에 대한 빠른 대중화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MPS의 또 다른 핵심 기술인 '원격 자동 주차시스템(RSPA)'도 업그레이드됐다. 영상 기반 센서 퓨전을 통해 RSPA 2 버전에 주차선 인식 기능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주변에 차량이 없는 빈 주차 공간에서도 주차선을 인식해 자율 주차를 지원한다.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V9, 제네시스 G90, GV60, 현대차 아이오닉 6등에도 적용된 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완전 무일 자율 주차(AVP) 수준까지 연구개발을 이어 나갈 계획이다. 크랩 주행과 제로 턴 시연 등이 특징인 'e-코너 시스템' 등 도심형 자율주행 신기술을 잇달아 선보이겠다는 구상이다.

회사 관계자는 "차세대 주차제어시스템 개발 성과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오토센스 콘퍼런스'에서 선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