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개발에 얼마나 진심인지 우리는 몰랐고, 모른다 [책마을]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있다. 북한 핵과 관련한 문제도 마찬가지다. 북핵에 대해 논하는 많은 이들이 구체적으로 북한의 핵이 어떤 특성을 지녔으며 어떤 경로로 개발됐는지를 도외시한다. 하지만 뭉뚱그려 핵무기 혹은 핵폭탄이라고 지칭하고 넘어갈 때 놓치는 문제는 과연 없을까.

<북한의 핵패권>은 베이징사범대, 베이징대, 중국과학원, 옌벤과학기술대 등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권 과학기술 전문가인 저자가 북한의 핵 개발 과정과 현재의 기술 수준, 북한 정권이 추구하는 핵전략을 냉철한 과학의 객관적 언어로 분석한 책이다. 정치적 해석 위주의 북한 핵 담론장에 ‘기초부터 확인하라’고 일침을 놓는다.

북한의 핵은 ‘족보’가 분명하다. 소련과 중국의 사회주의 과학개발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북한은 미국 등 서방과는 확연히 다른 핵기술 개발경로를 걸었다. 서구의 상식을 기준으로 삼았다간 핵 개발의 속도와 수준을 오판하기에 십상이다.

무엇보다 오랜 핵 개발 역사를 지녔다. 북한이 1990년대 이후 ‘벼락치기’로 핵 개발에 뛰어들었다는 일반의 선입견과는 거리가 멀다. 북한의 핵 연구 인력들은 1956년 모스크바에 설립된 연합핵연구소(JINR)에 참여해 일찍부터 관련 기술을 확보했다. 1960년대에 이미 300명 넘게 인력을 파견하며 200여명의 중국을 능가했다.

북한 핵 연구의 특징은 이론보다 응용에 집중했다는 것. 북한은 80% 이상의 인력이 핵 개발과 방사화학, 중성자물리 등 응용 분야에 주력했다.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뿐 아니라 영변 원자력단지에서 현장에 밀착된 교육을 받은 물리대학 출신 인력들은 곧바로 현장에 투입될 실무진으로 양성됐다.

북한의 핵 개발 속도는 1980년대에 가파르게 빨라졌다. 남한과의 경쟁에서 뒤처지고, 사회주의권 국가들이 무너지면서 위기를 극복할 ‘탈출구’로 핵무기 개발에 매진했다. 그 결과, 1986년 무기용 플루토늄 생산 주역인 5MWe원자로가 가동을 시작했고 1989년에는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이 부분 가동에 들어갔다.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비서는 “북한의 본격적인 핵무기 개발은 1980년대부터 시작됐고 90년대 초반에 성공했다”고 못 박았다.

일관성은 북한 핵 개발사에 뚜렷하게 흔적을 남겼다. 1980년대 초반부터 지속해서 고폭실험을 실시했고 1990년대 초반부터는 기폭장치 완제품 실험을 수행했다. 마침내 2006년엔 풍계리에서 최초의 지하핵실험을 강행하며 세계에 충격을 줬다.

주목할 점은 북한이 감행하는 핵실험은 정치적 의도보다는 핵무기의 기술적 성능을 검증하고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는 사실이다. 북한의 3~5차 핵실험은 핵탄두 소형화와 표준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었고, 4~6차 실험은 수소탄 개발과 연관됐다. 남북관계와 대미 전략은 북한에는 부차적인 문제에 불과했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이 7차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저자는 예상한다. 서방에선 시뮬레이션으로 핵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며 ‘핵실험 도발’ 가능성을 낮게 본다. 하지만, 북한의 진짜 목적은 야포와 지뢰, 어뢰, 항공폭탄, 다탄두, 지대함미사일 등 차기 전술핵과 같은 높은 수준의 핵무기 다양화라며 ‘가상’이 아닌 ‘실습’을 택할 것이란 분석이다.

책은 전방위적으로 핵무기와 투발 수단을 신속하게 확장하는 북한의 사례를 냉정하게 짚는다. 하지만 건조한 과학의 언어, 사회주의권 핵 개발사에 대한 세세한 기술이 일반 대중이 접하기엔 버거운 측면도 적지 않다. 김동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