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무탄소연합' 넷제로 표준될 수 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전·수소 포함한 CF100 도입
재생에너지 여건 열악한 국가엔
CF연합이 탄소중립 현실적 대안
재생에너지 여건 열악한 국가엔
CF연합이 탄소중립 현실적 대안
유럽의 주요 국가들이 ‘탄소중립(넷제로) 숨고르기’에 나선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과 우리 정부는 현실적인 넷제로 달성을 위한 대안으로 ‘무탄소(CF·carbonfree) 에너지 확산’을 적극적으로 띄우고 있다. 태양광·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에만 의존하는 대신 원전, 수소 등을 포함하는 무탄소 에너지를 폭넓게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2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기조연설(사진)에서도 무탄소 에너지 확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무탄소(CF)연합’을 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단 다음달 한국 기업 중심으로 연합을 출범시킨 뒤 무탄소 에너지 확산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넓혀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기업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무탄소 에너지는 기존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진된 ‘RE100’의 대안으로 나온 개념이다. RE100은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만으로 충당하도록 했다. 한국 정부는 RE100으로만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공평하지도 않다고 보고 있다. 나라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유량에 편차가 크고 에너지 믹스 등 정책 기반도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중립 달성 과정에서 원전 같은 추가 선택지를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많은 기업이 RE100을 또 하나의 무역장벽으로 느끼기도 한다”며 “한국과 같이 재생에너지 여건이 열악한 국가의 기업들에는 CF연합이 탄소중립의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해준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이 원전과 수소 분야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F연합이 확대되면) 수출과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수석은 “CF연합은 무탄소에너지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를 식별하고, 이행·검증 체계와 국제 표준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서 지난 5월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CFE포럼’을 구성했다. 여기에는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포스코, GS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등 50여 개 기업·단체가 참여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윤 대통령은 지난 2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기조연설(사진)에서도 무탄소 에너지 확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무탄소(CF)연합’을 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단 다음달 한국 기업 중심으로 연합을 출범시킨 뒤 무탄소 에너지 확산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넓혀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기업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무탄소 에너지는 기존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진된 ‘RE100’의 대안으로 나온 개념이다. RE100은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만으로 충당하도록 했다. 한국 정부는 RE100으로만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공평하지도 않다고 보고 있다. 나라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유량에 편차가 크고 에너지 믹스 등 정책 기반도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중립 달성 과정에서 원전 같은 추가 선택지를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많은 기업이 RE100을 또 하나의 무역장벽으로 느끼기도 한다”며 “한국과 같이 재생에너지 여건이 열악한 국가의 기업들에는 CF연합이 탄소중립의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해준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이 원전과 수소 분야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F연합이 확대되면) 수출과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수석은 “CF연합은 무탄소에너지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를 식별하고, 이행·검증 체계와 국제 표준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서 지난 5월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CFE포럼’을 구성했다. 여기에는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포스코, GS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등 50여 개 기업·단체가 참여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