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 최고 안무가' 마요 "발레 속 줄리엣의 강렬한 감정, 공감할 수 있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 주된 목표는 우리가 모두 경험했던 보편적인 강력한 감정을 관객이 최대한 진정성 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제 발레 작품들은 안무 예술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시대를 초월해 우리를 하나로 모으는 감정을 관객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무엇보다도 관심이 있습니다.“
‘현존하는 최고의 안무가’로 꼽히는 장 크리스토프 마요(63)는 자신의 발레 철학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24일 서면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마요는 "제 작품에서 ‘조명과 음향을 이용한 무대장치(시노그래피·scenography)’가 매우 단순한 것도 이런 이유"라며 "무용수들의 동작이나 행동도 사실적인 형태를 추구하기 때문에 소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모던 발레의 거장 마요가 다음 달 모나코 몬테카를로 발레단과 함께 약 4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다음 달 13~15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무대에 마요가 안무·연출한 ‘로미오와 줄리엣’을 올린다. 대구 수성아트피아 대극장(10월 7~8일)과 강릉아트센터(10월 18일)에서도 공연한다. 마요가 1993년부터 이끌어온 몬테카를로 발레단과 내한 공연을 갖는 것은 2005년과 2019년 ‘신데렐라’에 이어 세 번째다.
프랑스 투르에서 태어난 마요는 투르 국립 음악학교에서 발레를 배웠다. 1977년 17세의 나이로 세계적인 발레 경연대회인 스위스 로잔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이를 계기로 탁월한 안무가인 존 노이마이어 함부르크 발레단 감독에게 발탁돼 이 발레단에서 5년 동안 솔리스트로 활약했다. 23세에 무대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로 인해 무용수에서 물러나 안무가로 변신했다.
그가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예술감독 겸 상임 안무가로 임명된 것은 1993년이다. 발레를 사랑했던 모나코 왕비 그레이스 켈리의 유지를 받들어 1985년 이 발레단을 재창단한 공주 캐롤라인 그리말디에 의해서다. “공주는 제게서 모나코의 정체성과 일치하는 안무가를 발견한 것 같아요. 모나코는 작은 나라이지만 항상 전 세계로 눈을 돌리고 다양성을 바탕으로 번영을 누리고 있잖아요. 저도 제 레퍼토리를 매주 같은 극장에서 공연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와 공유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마요가 1996년 몬테카를로 발레단과 초연한 ‘로미오와 줄리엣’이 대표적이다. “이 작품은 전 세계에서 400회 이상 공연되었으며 10여 개 세계적인 발레단의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저의 신앙고백과도 같습니다. 이 발레에서 제 작품의 본질을 뒷받침하는 모든 것을 찾을 수 있죠.“
국내에서는 국립발레단이 2000년 마요 버전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국내 초연했고, 2002년과 2011년, 2013년에도 공연했다. 이 작품은 마요의 ‘고백’처럼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조명과 무대세트 움직임, 무용수들의 사실적인 동작고 강렬한 감정 표현 등 그의 무대미학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작품이다. 줄리엣이 적극적이면서 도전적인 여성, 줄리엣 엄마 캐플릿 부인이 남편 없이 가문을 이끌어가는 여장부로 등정하는 등 캐릭터의 재창조도 독특하다. “줄리엣과 캐플릿 부인, 유모 등이 제 작품의 진짜 주인공들이에요. 특히 가장 중요한 줄리엣은 사랑에 대한 절대적이고 완전하며 급진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죠. 그 무엇도 줄리엣이 로미오를 사랑하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수석무용수 안재용은 2019년 ‘신데렐라’ 주역으로 국내에 첫선을 보인 데 이어 이번 공연에서도 줄리엣의 사촌 티볼트로 출연한다. 마요는 안재용이 20세에 이 발레단에 입단한 사연을 들려주며 특별한 애착을 드러냈다. “재용이는 무용수가 아니었던 16세에 제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을 관람하고는 춤을 배우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해요. 미친 듯이 발레를 익혀 4년 후 오디션을 보러 왔어요. 저는 이런 사연을 전혀 모른 채 그를 뽑았죠. 재용이는 제 작품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준 무용수입니다.“
마요 버전의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은 한국의 국립발레단을 비롯해 전 세계 10여개 발레단이 400회 이상 공연한 유명한 작품이다. ‘원조’인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이번 내한공연은 이전 공연들과 무엇이 다를까. “이 작품은 수년 동안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습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새로 이 작품의 주요 역할을 맡은 무용수들의 해석입니다. 1996년에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무용수들도 있습니다. 저는 언제나 무용수들의 개성에 따라 작품이 조금씩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그럴 것입니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현존하는 최고의 안무가’로 꼽히는 장 크리스토프 마요(63)는 자신의 발레 철학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24일 서면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마요는 "제 작품에서 ‘조명과 음향을 이용한 무대장치(시노그래피·scenography)’가 매우 단순한 것도 이런 이유"라며 "무용수들의 동작이나 행동도 사실적인 형태를 추구하기 때문에 소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모던 발레의 거장 마요가 다음 달 모나코 몬테카를로 발레단과 함께 약 4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다음 달 13~15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무대에 마요가 안무·연출한 ‘로미오와 줄리엣’을 올린다. 대구 수성아트피아 대극장(10월 7~8일)과 강릉아트센터(10월 18일)에서도 공연한다. 마요가 1993년부터 이끌어온 몬테카를로 발레단과 내한 공연을 갖는 것은 2005년과 2019년 ‘신데렐라’에 이어 세 번째다.
프랑스 투르에서 태어난 마요는 투르 국립 음악학교에서 발레를 배웠다. 1977년 17세의 나이로 세계적인 발레 경연대회인 스위스 로잔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이를 계기로 탁월한 안무가인 존 노이마이어 함부르크 발레단 감독에게 발탁돼 이 발레단에서 5년 동안 솔리스트로 활약했다. 23세에 무대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로 인해 무용수에서 물러나 안무가로 변신했다.
그가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예술감독 겸 상임 안무가로 임명된 것은 1993년이다. 발레를 사랑했던 모나코 왕비 그레이스 켈리의 유지를 받들어 1985년 이 발레단을 재창단한 공주 캐롤라인 그리말디에 의해서다. “공주는 제게서 모나코의 정체성과 일치하는 안무가를 발견한 것 같아요. 모나코는 작은 나라이지만 항상 전 세계로 눈을 돌리고 다양성을 바탕으로 번영을 누리고 있잖아요. 저도 제 레퍼토리를 매주 같은 극장에서 공연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와 공유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마요가 1996년 몬테카를로 발레단과 초연한 ‘로미오와 줄리엣’이 대표적이다. “이 작품은 전 세계에서 400회 이상 공연되었으며 10여 개 세계적인 발레단의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저의 신앙고백과도 같습니다. 이 발레에서 제 작품의 본질을 뒷받침하는 모든 것을 찾을 수 있죠.“
국내에서는 국립발레단이 2000년 마요 버전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국내 초연했고, 2002년과 2011년, 2013년에도 공연했다. 이 작품은 마요의 ‘고백’처럼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조명과 무대세트 움직임, 무용수들의 사실적인 동작고 강렬한 감정 표현 등 그의 무대미학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작품이다. 줄리엣이 적극적이면서 도전적인 여성, 줄리엣 엄마 캐플릿 부인이 남편 없이 가문을 이끌어가는 여장부로 등정하는 등 캐릭터의 재창조도 독특하다. “줄리엣과 캐플릿 부인, 유모 등이 제 작품의 진짜 주인공들이에요. 특히 가장 중요한 줄리엣은 사랑에 대한 절대적이고 완전하며 급진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죠. 그 무엇도 줄리엣이 로미오를 사랑하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수석무용수 안재용은 2019년 ‘신데렐라’ 주역으로 국내에 첫선을 보인 데 이어 이번 공연에서도 줄리엣의 사촌 티볼트로 출연한다. 마요는 안재용이 20세에 이 발레단에 입단한 사연을 들려주며 특별한 애착을 드러냈다. “재용이는 무용수가 아니었던 16세에 제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을 관람하고는 춤을 배우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해요. 미친 듯이 발레를 익혀 4년 후 오디션을 보러 왔어요. 저는 이런 사연을 전혀 모른 채 그를 뽑았죠. 재용이는 제 작품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준 무용수입니다.“
마요 버전의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은 한국의 국립발레단을 비롯해 전 세계 10여개 발레단이 400회 이상 공연한 유명한 작품이다. ‘원조’인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이번 내한공연은 이전 공연들과 무엇이 다를까. “이 작품은 수년 동안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습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새로 이 작품의 주요 역할을 맡은 무용수들의 해석입니다. 1996년에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무용수들도 있습니다. 저는 언제나 무용수들의 개성에 따라 작품이 조금씩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그럴 것입니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