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홀딩스 소재 쓰니…中 제품, 美 뚫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론지 태양광 패널, 美세관 통과
"판가 높아지고 대형 계약 가능성"
"판가 높아지고 대형 계약 가능성"
OCI홀딩스의 폴리실리콘을 사용한 중국 태양광 패널이 미국 수출 허가를 받았다. 중국 모듈업체까지 비(非)중국산 폴리실리콘 구하기에 나서면서 이 회사의 제품 판가가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OCI홀딩스는 말레이시아공장을 ‘풀 가동’하고 나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론지가 생산한 태양광 모듈이 최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의 수출 허가를 받았다. 이 모듈은 OCI홀딩스가 말레이시아에서 제조한 태양광 소재인 폴리실리콘으로 만들어졌다. 미국 당국이 ‘신장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통해 중국산 소재를 제재하면서 한국 제품을 쓰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소식에 지난 22일 OCI홀딩스 주가는 전일 대비 5.50% 상승했다. 지난 7월엔 중국 퉁웨이의 폴리실리콘으로 만든 론지의 모듈이 미국 세관을 통과하지 못해 큰 파장이 일었다.
업계에서는 OCI홀딩스 제품이 소위 ‘미국 세관 인증’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모듈이더라도 OCI홀딩스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면 미국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점을 공식화한 셈”이라며 “OCI홀딩스 제품 중에서도 일부 물량은 비중국산 가격을 적용받지 못했는데 앞으로는 판가가 확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의 기초 소재다. 태양광산업 생태계는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 순으로 짜여 있다.
OCI홀딩스는 2021년 론지와 3년간 9000억원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을 맺으며 인연을 맺었다. 론지가 급성장하는 미국 수출길을 열려면 중국 폴리실리콘 비중을 줄여야 해 앞으로 장기 공급 계약이 또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비중국 기업은 OCI홀딩스(한국), 바커(독일), 햄록(미국) 등 세 곳뿐이다.
유럽연합(EU)이 2024년부터 ‘기업 공급망 실사법’을 발효하며 인권·환경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 중국산 제품의 입지가 더 좁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2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론지가 생산한 태양광 모듈이 최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의 수출 허가를 받았다. 이 모듈은 OCI홀딩스가 말레이시아에서 제조한 태양광 소재인 폴리실리콘으로 만들어졌다. 미국 당국이 ‘신장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통해 중국산 소재를 제재하면서 한국 제품을 쓰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소식에 지난 22일 OCI홀딩스 주가는 전일 대비 5.50% 상승했다. 지난 7월엔 중국 퉁웨이의 폴리실리콘으로 만든 론지의 모듈이 미국 세관을 통과하지 못해 큰 파장이 일었다.
업계에서는 OCI홀딩스 제품이 소위 ‘미국 세관 인증’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모듈이더라도 OCI홀딩스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면 미국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점을 공식화한 셈”이라며 “OCI홀딩스 제품 중에서도 일부 물량은 비중국산 가격을 적용받지 못했는데 앞으로는 판가가 확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의 기초 소재다. 태양광산업 생태계는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 순으로 짜여 있다.
OCI홀딩스는 2021년 론지와 3년간 9000억원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을 맺으며 인연을 맺었다. 론지가 급성장하는 미국 수출길을 열려면 중국 폴리실리콘 비중을 줄여야 해 앞으로 장기 공급 계약이 또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비중국 기업은 OCI홀딩스(한국), 바커(독일), 햄록(미국) 등 세 곳뿐이다.
유럽연합(EU)이 2024년부터 ‘기업 공급망 실사법’을 발효하며 인권·환경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 중국산 제품의 입지가 더 좁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