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건 액트노바 대표, 동물실험에 AI 접목한 KAIST연구팀…"의료계의 토스가 목표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물 대상 신약물질 전임상단계
AI 기술로 이상행동 정확한 분석
실험으로 희생되는 동물 수 줄여
AI 기술로 이상행동 정확한 분석
실험으로 희생되는 동물 수 줄여
“실험 동물의 일생은 보고서의 ‘점’ 하나로 치환됩니다. 그 희생에 조금이라도 많은 정보가 담기도록 노력해야 하죠.”
김대건 액트노바 대표는 ‘최고의 분석, 최소의 희생’이라는 회사의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이 회사는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시험 단계에서 분석 과정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자동화·효율화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전임상시험은 신약 후보물질을 사람에게 사용하기 전에 실험용 쥐 같은 동물에게 먼저 사용해 부작용과 효과를 알아보는 단계다.
2018년 설립된 액트노바는 뇌과학 분야 권위자인 김대수 KAIST 교수팀이 주축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시드(초기) 단계에서 카카오벤처스의 투자를 받았고, 최근 프리 시리즈A 라운드를 열었다.
액트노바가 개발한 건 동물 행동 실험을 AI 기술을 통해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 AI가 촬영된 쥐의 영상을 골격 단위로 분석한다. 영상 속 쥐의 뼈마디 마디와 코끝, 머리 중심 등에 점을 찍어 좌표 데이터를 검출하는 식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는 분석하기 힘든 이상 행동을 찾아낼 수 있다. 김 대표는 “예를 들어 파킨슨병에 걸린 쥐는 한쪽 뇌가 마비되면 한 방향으로 계속 빙글빙글 도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기존 방식은 단순히 몇 바퀴를 도는지 정도를 분석하는 게 전부였다”며 “딥러닝을 통해 골격 데이터를 추출하면 조금 더 정밀한 고차원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실험에 희생되는 동물 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적은 실험체만으로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진 덕분이다. 또 관련 인력을 줄여 비용 효율화도 가능하다. 김 대표는 “분석 비용과 시간 모두 80% 이상 줄였다”며 “향후 10마리의 쥐가 필요했던 실험이 3마리만으로 가능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액트노바는 관련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만들어 기업·기관 등에 납품한다. 이 기술로 2022년 CES에서 혁신상을 받았다. 한미약품, 녹십자, 식약처 같은 국내 기업과 기관에 더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샌디에이고대(UCSD) 같은 해외 고객사도 확보했다.
액트노바는 앞으로 의료 AI업계의 ‘토스’가 되는 게 목표다. 누구나 직관적이고 쉽게 쓸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겠다는 뜻이다. 언뜻 무거운 의료 분야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김 대표는 “오랜 기간 한 분야를 파고들고 있는 우리 팀원들의 ‘장인정신’과 스타트업 특유의 ‘애자일’ 정신을 합해 토스처럼 가벼우면서도 혁신을 이뤄낸 서비스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김대건 액트노바 대표는 ‘최고의 분석, 최소의 희생’이라는 회사의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이 회사는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시험 단계에서 분석 과정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자동화·효율화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전임상시험은 신약 후보물질을 사람에게 사용하기 전에 실험용 쥐 같은 동물에게 먼저 사용해 부작용과 효과를 알아보는 단계다.
2018년 설립된 액트노바는 뇌과학 분야 권위자인 김대수 KAIST 교수팀이 주축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시드(초기) 단계에서 카카오벤처스의 투자를 받았고, 최근 프리 시리즈A 라운드를 열었다.
○CES 혁신상 받은 기술
액트노바가 주목한 건 비효율적이고 비윤리적이던 전임상시험 시장이다. 그간 전임상시험을 한 뒤 결과를 분석하는 작업은 ‘아날로그’적으로 이뤄져 왔다. 특히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같은 뇌질환은 약효를 분석하기가 더 어려웠다. 예를 들어 발작 같은 증상은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탓에 수의사 등 연구 인력이 하루 종일 쥐의 영상을 찍으며 지켜봐야 했다. 또 쥐가 고통을 느끼는 정도를 쥐의 표정을 보고 육안으로 분석하는 등 정확도도 떨어졌다.액트노바가 개발한 건 동물 행동 실험을 AI 기술을 통해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 AI가 촬영된 쥐의 영상을 골격 단위로 분석한다. 영상 속 쥐의 뼈마디 마디와 코끝, 머리 중심 등에 점을 찍어 좌표 데이터를 검출하는 식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는 분석하기 힘든 이상 행동을 찾아낼 수 있다. 김 대표는 “예를 들어 파킨슨병에 걸린 쥐는 한쪽 뇌가 마비되면 한 방향으로 계속 빙글빙글 도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기존 방식은 단순히 몇 바퀴를 도는지 정도를 분석하는 게 전부였다”며 “딥러닝을 통해 골격 데이터를 추출하면 조금 더 정밀한 고차원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실험에 희생되는 동물 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적은 실험체만으로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진 덕분이다. 또 관련 인력을 줄여 비용 효율화도 가능하다. 김 대표는 “분석 비용과 시간 모두 80% 이상 줄였다”며 “향후 10마리의 쥐가 필요했던 실험이 3마리만으로 가능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액트노바는 관련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만들어 기업·기관 등에 납품한다. 이 기술로 2022년 CES에서 혁신상을 받았다. 한미약품, 녹십자, 식약처 같은 국내 기업과 기관에 더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샌디에이고대(UCSD) 같은 해외 고객사도 확보했다.
○의료 AI계 토스 꿈꾼다
액트노바는 향후 CRO(임상시험기관) 사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단순히 솔루션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직접 임상시험을 대행해 주는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김 대표는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뇌질환 발병률이 높아지고 뇌질환 치료제(CNS) 분야 시장 규모는 2028년엔 260조원까지 커질 것”이라며 “전체 관련 수요에 비해 CRO 시장에서 동물 실험 분석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이 4% 남짓에 그치고 있어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설명했다.액트노바는 앞으로 의료 AI업계의 ‘토스’가 되는 게 목표다. 누구나 직관적이고 쉽게 쓸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겠다는 뜻이다. 언뜻 무거운 의료 분야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김 대표는 “오랜 기간 한 분야를 파고들고 있는 우리 팀원들의 ‘장인정신’과 스타트업 특유의 ‘애자일’ 정신을 합해 토스처럼 가벼우면서도 혁신을 이뤄낸 서비스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