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급 지능’ ‘느린학습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들은 좁은 의미에서 지적 능력이 IQ 70~85 범주에 해당하는 아동을 뜻한다. 일반 교육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지만 장애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아 특수교육 대상자로 지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인구의 약 1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들에 대한 정책은커녕 실태 파악도 제대로 안 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7월부터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아동을 찾기 위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정부 차원에서 실태조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애초 교육부는 8월 말까지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학교 현장 혼란으로 일정이 미뤄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9월 말까지 조사 기간을 연장했다”며 “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아이들은 ‘회색지대’에 있다고 표현된다. 이들은 장애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아 특수교육이 필수적으로 지원되진 않는다.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아동은 지적 능력이 평균보다 낮은 IQ 70~85 정도다. 난독, 난산 같은 학습장애가 있을 수 있지만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다수가 특수교육이 아니라 일반 교육을 받고 있다.

지난해 특수교육 대상자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서며 전체 학생 가운데 비중이 1.7%로 높아졌다. 미국 등 선진국은 특수교육 대상자가 10% 안팎인 것을 고려하면 현저하게 낮다. 교육 대상자 파악조차 안 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전문가들은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학생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예방적 교육으로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출현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위험 요인이 있는 아이를 대상으로 조기 중재를 했을 때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출현율은 5~8% 선으로 교육이 없는 경우(19%)보다 크게 낮았다. 박승희 이화여대 특수교육과 교수는 “개인에 대한 지원, 처해 있는 환경 등과의 상호작용 결과로 기능성 수준이 결정되기 때문에 대상자를 적극 발굴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