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날레의 계절'이라지만...너무 많은 거 아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등
하반기 미술 비엔날레만 전국 9곳
"비엔날레 난립" 비판도
하반기 미술 비엔날레만 전국 9곳
"비엔날레 난립" 비판도
![서울시립미술관 앞에 설치된 이끼바위쿠르르의 설치 작업 ‘땅탑’.](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01.34638755.1.jpg)
올해 하반기 비엔날레 중 ‘대장’격은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다. 올해 서울시립미술관을 비롯한 서울 각지에서 11월 19일까지 열리는 이 행사는 광주비엔날레·부산비엔날레와 함께 ‘한국 3대 비엔날레’로 꼽힌다. 이번 주제는 ‘이것 역시 지도’. 예술감독을 맡은 네덜란드 출신의 전시기획자 레이첼 레이크스는 “이주와 이동, 디아스포라와 이로 인해 생겨난 갖가지 경계 등을 새롭게 인식해 보자는 뜻”이라며 “서구중심주의 세계관 밖에 있는 네트워크와 정체성 등을 소개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찬나 호르비츠의 '오렌지 그리드'.](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01.34638768.1.jpg)
하지만 이 때문에 미술계 일각에서는 “특색 없는 흔한 현대미술 비엔날레가 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시 주제 및 작품이 서울과 별 관련이 없다는 불만도 있다. 미술계의 한 인사는 “서구중심주의 비판, 디아스포라 등은 현대미술에서 너무 흔한 주제인 데다, 이번 전시에 나온 작품 대부분은 서울과 특별한 관련도 없어 보인다”고 했다.
공교롭게도 청주공예비엔날레 역시 ‘지도’를 핵심 주제로 잡았다. 청주 문화제조창과 시내 일원에서 열리는 올해 행사는 ‘사물의 지도-공예, 세상을 잇고, 만들고, 사랑하라’를 주제로 10월 15일까지 열린다.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는 ‘물’을 주제로 목포 문화예술회관 등 시내 일원과 진도의 운림산방 등에서 9월1일~10월31일, ‘디자인을 만나다’를 주제로 열리는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광주디자인진흥원 주관으로 9월7일~11월7일 비엔날레 전시관 등 광주시내 일원에서, ‘다시 사진으로’라는 제목을 내세운 대구사진비엔날레는 대구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9월22일부터 11월5일까지 열린다.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서 관람객이 전시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01.34638758.1.jpg)
미술계에서 ‘비엔날레 무용론’이 나온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방자치단체의 보여주기식 전시로 변질됐다”, 연간 총 수십억원에 달하는 국고 지원금이 아깝다는 비판도 수없이 많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비엔날레와 트리엔날레(3년마다 열리는 국제미술전)는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공공 조직 및 행사의 특성상 만들기보다 없애기가 훨씬 어렵기 때문이다.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실장은 “요즘 비엔날레는 개최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려는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한국에서만 벌어지는 일은 아니지만, 좁은 나라에서 이렇게 많은 비엔날레가 열리는 건 확실히 과하다”고 말했다. 아래는 올 하반기에 열리는 비엔날레 목록.
올해 하반기 열리는 비엔날레 기간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9월21일~11월19일)청주공예비엔날레 (9월1일~10월15일)
광주디자인비엔날레 (9월7일~11월7일)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9월1일~ 10월31일)
대구사진비엔날레(9월22일~11월5일)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9월22일~10월 22일)
국제타이포그래피비엔날레(9월 19일~10월14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9월1일~10월29일)
바다미술제(10월14일~11월19일)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