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가루에 막장인 '그때 그 시절' 영화판…지금과 뭐가 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송강호 주연 '거미집'
1970년대 영화 검열 소재
시대 초월한 코믹 드라마로 연출
1970년대 영화 검열 소재
시대 초월한 코믹 드라마로 연출
“뭔 영화가 이렇게 콩가루고 막장이야?”, “김 감독 현장은 원래 막장에 콩가루야.”
김지운 감독의 새 영화 ‘거미집’에 등장하는 극 중 고참 배우 오 여사(박정숙 분)의 대사들이다. 전자는 영화 속 영화 ‘거미집’을 재촬영하는 장면에서 바뀐 내용에 어이없는 듯 내뱉은 말이다. 후자는 영화 촬영 현장이 이런저런 일들로 어수선해지고, 촬영이 중단될 위기에 처할 때 다들 들으라는 듯이 크게 말한다.
김지운 감독, 송강호 주연의 ‘거미집’은 영화를 소재로 한 영화다. 걸작의 열망에 사로잡힌 김 감독(송강호 분)이 영화제작사 신성필름 촬영장에서 다 찍은 영화의 내용을 고쳐 이틀 동안 재촬영하는 과정을 코믹하게 보여준다.
시대적 배경은 한국 영화의 ‘암흑기’로 꼽히는 1970년대 유신체제 기간(1972년 10월 17일~1979년 10월 26일)이다. 유신헌법 발효 1년이 지난 1973년 개정된 영화법으로 유례없이 혹독한 심의·검열이 이뤄졌다. 기존 사전 검열 외에 제작 전 시나리오 심의를 통과해야 영화를 찍을 수 있는 제도도 새로 생겼다.
영화는 꿈에서 김 감독이 이미 촬영을 마친 ‘거미집’의 달라진 결말 부분을 계속 보면서 괴로워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다시 찍지 않으면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어. 그대로 찍으면 틀림없이 걸작이 된다. 이걸 알고도 비난이 무서워 외면하면 죄악이 된다.”
데뷔작 이후 이렇다 할 작품을 내놓지 못한 김 감독은 이런 혼잣말을 되뇌며 시나리오를 꿈에서 본 대로 고쳐 쓴다. 제작사에 찾아간 김 감독은 이틀만 추가 촬영하게 해달라고 사정하지만, 격렬한 반대와 난관에 부딪힌다. 제작사 백 회장(장영남 분)의 반응이 흥미롭다.
“걸작을 왜 만들어요? 그냥 하던 거 하세요. 심의 안 나면 절대로 안 돼요.” 백 회장 말대로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심의다. 문화공보부 담당자는 김 감독이 수정한 시나리오가 “반체제적이고 미풍양속을 해친다”며 퇴짜를 놓는다.
어렵사리 주연 배우들을 모아 다시 시작한 재촬영 현장은 오 여사의 표현대로 ‘막장’이고 ‘콩가루’다. 문공부 검열 담당자들이 난데없이 들이닥치고, 일본으로 출장 간 줄 알았던 백 회장도 예고 없이 돌아와 ‘촬영 중단’을 선언하는 등 한바탕 난리를 친다.
영화는 1970년대 한국 영화계를 풍자한 블랙 코미디를 지향하고 있지만, 극 중 백 회장의 말처럼 “치정극이자 멜로물이자 재난극이자 스릴러” 같은 극 중 흑백 영화 ‘거미집’같이 어수선하다. 시대를 풍자했다기보다는 단순히 소재를 빌려와 희화화한 코믹 드라마에 가깝다. 송강호가 연기한 김 감독이 고(故) 김기영 감독을 모티브로 하고 희화화했다는 논란도 있지만, 신연식의 원래 각본을 김지운 감독이 직접 각색하면서 그런 색깔은 거의 없어졌다. 당시 시대와 영화계 현실에 대한 고민은 별로 찾아볼 수 없다.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이야기긴 하지만 1970년대가 아니라 오늘날의 영화감독 같다.
송강호와 극 중 김 감독의 스승이자 멘토로 나오는 신 감독 역의 정우성 등 배우들이 합을 맞추는 앙상블 장면은 주목할 만하다. 종잡을 수 없는 신미도 역의 전여빈과 당돌하고 약삭빠른 한유림 역의 정수정 등 ‘스크린 신예’들과 박정숙, 임수정, 오정세 등 베테랑들의 신구 호흡도 잘 맞는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
김지운 감독의 새 영화 ‘거미집’에 등장하는 극 중 고참 배우 오 여사(박정숙 분)의 대사들이다. 전자는 영화 속 영화 ‘거미집’을 재촬영하는 장면에서 바뀐 내용에 어이없는 듯 내뱉은 말이다. 후자는 영화 촬영 현장이 이런저런 일들로 어수선해지고, 촬영이 중단될 위기에 처할 때 다들 들으라는 듯이 크게 말한다.
김지운 감독, 송강호 주연의 ‘거미집’은 영화를 소재로 한 영화다. 걸작의 열망에 사로잡힌 김 감독(송강호 분)이 영화제작사 신성필름 촬영장에서 다 찍은 영화의 내용을 고쳐 이틀 동안 재촬영하는 과정을 코믹하게 보여준다.
시대적 배경은 한국 영화의 ‘암흑기’로 꼽히는 1970년대 유신체제 기간(1972년 10월 17일~1979년 10월 26일)이다. 유신헌법 발효 1년이 지난 1973년 개정된 영화법으로 유례없이 혹독한 심의·검열이 이뤄졌다. 기존 사전 검열 외에 제작 전 시나리오 심의를 통과해야 영화를 찍을 수 있는 제도도 새로 생겼다.
영화는 꿈에서 김 감독이 이미 촬영을 마친 ‘거미집’의 달라진 결말 부분을 계속 보면서 괴로워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다시 찍지 않으면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어. 그대로 찍으면 틀림없이 걸작이 된다. 이걸 알고도 비난이 무서워 외면하면 죄악이 된다.”
데뷔작 이후 이렇다 할 작품을 내놓지 못한 김 감독은 이런 혼잣말을 되뇌며 시나리오를 꿈에서 본 대로 고쳐 쓴다. 제작사에 찾아간 김 감독은 이틀만 추가 촬영하게 해달라고 사정하지만, 격렬한 반대와 난관에 부딪힌다. 제작사 백 회장(장영남 분)의 반응이 흥미롭다.
“걸작을 왜 만들어요? 그냥 하던 거 하세요. 심의 안 나면 절대로 안 돼요.” 백 회장 말대로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심의다. 문화공보부 담당자는 김 감독이 수정한 시나리오가 “반체제적이고 미풍양속을 해친다”며 퇴짜를 놓는다.
어렵사리 주연 배우들을 모아 다시 시작한 재촬영 현장은 오 여사의 표현대로 ‘막장’이고 ‘콩가루’다. 문공부 검열 담당자들이 난데없이 들이닥치고, 일본으로 출장 간 줄 알았던 백 회장도 예고 없이 돌아와 ‘촬영 중단’을 선언하는 등 한바탕 난리를 친다.
영화는 1970년대 한국 영화계를 풍자한 블랙 코미디를 지향하고 있지만, 극 중 백 회장의 말처럼 “치정극이자 멜로물이자 재난극이자 스릴러” 같은 극 중 흑백 영화 ‘거미집’같이 어수선하다. 시대를 풍자했다기보다는 단순히 소재를 빌려와 희화화한 코믹 드라마에 가깝다. 송강호가 연기한 김 감독이 고(故) 김기영 감독을 모티브로 하고 희화화했다는 논란도 있지만, 신연식의 원래 각본을 김지운 감독이 직접 각색하면서 그런 색깔은 거의 없어졌다. 당시 시대와 영화계 현실에 대한 고민은 별로 찾아볼 수 없다.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이야기긴 하지만 1970년대가 아니라 오늘날의 영화감독 같다.
송강호와 극 중 김 감독의 스승이자 멘토로 나오는 신 감독 역의 정우성 등 배우들이 합을 맞추는 앙상블 장면은 주목할 만하다. 종잡을 수 없는 신미도 역의 전여빈과 당돌하고 약삭빠른 한유림 역의 정수정 등 ‘스크린 신예’들과 박정숙, 임수정, 오정세 등 베테랑들의 신구 호흡도 잘 맞는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