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화제 앞두고 '응급 수술' 이제훈…허혈성 대장염 뭐길래 [건강!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배우 이제훈이 허혈성 대장염으로 인한 응급 수술로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사회 불참 소식을 전하면서 해당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일 이제훈 소속사 컴퍼니온 측 관계자는 "이제훈이 지난 1일 늦은 밤 심한 복통을 느껴 병원을 찾았고, 진단 결과 허혈성 대장염이이라 응급 수술을 받았다"며 "수술은 잘 마쳤지만, 불가피하게 부산 일정에는 참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허혈성 대장염은 대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혈류감소로 혈액의 흐름에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대장염의 일종이다. 대장은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혈류가 감소하면서 대장 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것.
노인병으로 알려졌지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성인병 환자, 과거 복부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혈관에 직접적으로 혈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다. 변비가 심해 배변 시 힘을 많이 주는 사람 중 일부에서도 흔히 발병한다. 젊은 환자의 경우에는 만성 성인병보다 변비 때문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제훈 측이 밝힌 것과 같이 갑작스럽게 심한 복통이 생기거나 구역질, 구토, 설사, 혈변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복통이 시작된 후 설사가 나오는데, 처음엔 단순한 설사이지만 이후 피가 섞인 혈변을 하게 된다. 출혈 때문에 놀라 병원을 찾았다가 허혈성 대장염 진단을 받는 경우도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 갑작스러운 왼쪽 하복부 통증과 함께 피가 섞인 설사를 할 경우에는 더욱 의심해볼 만하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혈류 저하를 일으킨 원인을 제거하는 거다. 이와 함께 금식, 수액 보충, 항생제 투여 등이 시행된다. 보통 일주일 정도 이내에 증상이 없어지지만, 괴사나 장천공, 패혈증 등으로 진행될 경우 대장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하는 외과적 수술이나 치료가 이뤄질 수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장관괴사·복막염·쇼크 등을 일으켜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후는 좋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드물게 대장벽에 깊은 궤양이 발생한 경우에는 치유된 후에도 변형이나 협착이 생길 수도 있다.
재발이 적어 평소에 크게 유의할 것은 없지만, 고혈압과 당뇨병, 심장병 등 만성 성인병을 앓고 있다면 성인병을 치료하는 게 예방책이 될 수 있다. 또한 변비 때문에 배변 시 힘을 많이 주어 복부 압력이 올라가지 않도록 치료를 받는 것도 추천된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2일 이제훈 소속사 컴퍼니온 측 관계자는 "이제훈이 지난 1일 늦은 밤 심한 복통을 느껴 병원을 찾았고, 진단 결과 허혈성 대장염이이라 응급 수술을 받았다"며 "수술은 잘 마쳤지만, 불가피하게 부산 일정에는 참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허혈성 대장염은 대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혈류감소로 혈액의 흐름에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대장염의 일종이다. 대장은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혈류가 감소하면서 대장 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것.
노인병으로 알려졌지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성인병 환자, 과거 복부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혈관에 직접적으로 혈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다. 변비가 심해 배변 시 힘을 많이 주는 사람 중 일부에서도 흔히 발병한다. 젊은 환자의 경우에는 만성 성인병보다 변비 때문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제훈 측이 밝힌 것과 같이 갑작스럽게 심한 복통이 생기거나 구역질, 구토, 설사, 혈변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복통이 시작된 후 설사가 나오는데, 처음엔 단순한 설사이지만 이후 피가 섞인 혈변을 하게 된다. 출혈 때문에 놀라 병원을 찾았다가 허혈성 대장염 진단을 받는 경우도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 갑작스러운 왼쪽 하복부 통증과 함께 피가 섞인 설사를 할 경우에는 더욱 의심해볼 만하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혈류 저하를 일으킨 원인을 제거하는 거다. 이와 함께 금식, 수액 보충, 항생제 투여 등이 시행된다. 보통 일주일 정도 이내에 증상이 없어지지만, 괴사나 장천공, 패혈증 등으로 진행될 경우 대장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하는 외과적 수술이나 치료가 이뤄질 수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장관괴사·복막염·쇼크 등을 일으켜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후는 좋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드물게 대장벽에 깊은 궤양이 발생한 경우에는 치유된 후에도 변형이나 협착이 생길 수도 있다.
재발이 적어 평소에 크게 유의할 것은 없지만, 고혈압과 당뇨병, 심장병 등 만성 성인병을 앓고 있다면 성인병을 치료하는 게 예방책이 될 수 있다. 또한 변비 때문에 배변 시 힘을 많이 주어 복부 압력이 올라가지 않도록 치료를 받는 것도 추천된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