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끈끈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챗GPT를 내놓으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온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의 동맹이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MS가 자체 생성형 AI 챗봇 개발에 나서는 등 오픈AI와 거리두기에 나선 것이다. 오픈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인 GPT의 막대한 운영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게 주된 이유로 알려졌다. 빅테크와 스타트업으로 만난 뒤 오픈AI가 기업가치 122조원의 거대기업으로 성장하며 영향력을 확대하자 MS가 견제에 나섰다는 해석도 나온다.

1일(현지시간) IT 전문지 더인포메이션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MS는 최근 1500명에 달하는 연구원들에게 “오픈AI의 GPT보다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규모가 더 작고 운영비용도 적게 드는 생성형 AI를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이미 MS가 사내 AI 프로그램을 빙챗과 같은 제품에 통합하는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MS가 오픈AI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 절감이다. GPT-4와 같은 초거대 LLM을 운영하는데 많은 전력비용이 발생하는 만큼 이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를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GPT-4의 파라미터(매개변수)는 5000억개로 하루 운영비용만 7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오픈AI가 자체 서비스를 출시한 것도 MS의 거리두기에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오픈AI는 지난달 기업용 챗봇 ‘챗GPT 엔터프라이즈’를 공개하며 본격적인 사업에 나섰다. GPT-4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챗GPT 엔터프라이즈는 기존 개인용 유료 버전보다 2배 빠르고, 기업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제공된다. 기업들이 우려하던 정보유출 우려도 없앴다. 앞서 지난 7월 MS가 내놓은 기업용 챗봇 ‘빙 챗 엔터프라이즈’ 사업과 경쟁하게 된 것이다. 이에 WSJ은 지난달 “MS와 오픈AI 경영진이 양사 파트너십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나 종종 갈등과 혼란도 일어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오픈AI가 독자행보를 강화하면서 몸값도 뛰고 있다. WSJ은 지난달 오픈AI의 기업가치가 최대 9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올해 초보다 몸값이 3배 뛰면서 전 세계 비상장 기업 가운데 스페이스X, 틱톡 운영사인 바이트댄스에 이어 3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MS는 오픈AI의 최대 후원자다. 올해 초 10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 누적 투자액이 110억달러에 달한다. 당시 290억달러의 가치평가를 받았는데 1년도 안 돼 3배가 뛴 것이다. 2021년 140억 달러에 비하면 6배에 달한다. 오픈AI 지분의 49%는 MS가 보유하고 있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