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원자재업체, 전기차 핵심광물 니켈 채굴 '중단' 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렌코어, 니켈 채굴 중단
"인도네시아산 너무 많아진 탓"
"인도네시아산 너무 많아진 탓"
세계 최대 원자재업체 글렌코어가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의 니켈 채굴을 중단한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 광물인 니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막대한 중국 자본을 등에 업은 인도네시아산 니켈이 시장에 과잉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글렌코어는 최근 "뉴칼레도니아의 코암니보 니켈 광산에 대한 자금 조달을 2024년 2월부로 중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코암니보 광산은 뉴칼레도니아 주정부 산하 기업과 글렌코어가 지분을 각각 51%, 49%씩 소유하고 있다. 2014년 첫 니켈 생산이 시작된 이래 글렌코어가 코암니보 광산 프로젝트에 들인 투자금은 90억달러가량이다.
글렌코어는 "코암니보 광산 비용 구조, 글로벌 니켈 시장 상황과 관련해 통제 할 수 없는 요인들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재정적으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상당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2월 전까지) 광산에 투입될 대체 자금원을 찾는 등 지속적인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글렌코어는 석탄사업 호조로 지난해 200억달러에 달하는 당기순이익을 냈지만, 코니아보 광산에서는 2년 연속 총 3억5000만달러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코암니보 광산 폐쇄는 인도네시아산 니켈의 과잉 공급이 다른 국가 및 지역의 니켈 생산 프로젝트를 잠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이번 폐쇄로 인해 공급망이 대부분 중국 기업에 의해 통제되는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량에 대한 국제 사회 의존도를 더욱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연합(EU)은 전기차 배터리용 필수 광물인 니켈을 '전략 원자재'로 지정해 역내 생산 및 가공을 촉진하고 공급원을 다변화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올해 7월 한 보고서에서 "뉴칼레도니아가 2030년까지 프랑스 배터리 공장에 필요한 니켈의 85%를 공급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뉴칼레도니아는 유럽의 '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글렌코어(코암니보 광산), 트라피구라(고로 광산) 등 뉴칼레도니아 역내에서 사업 중인 3개 기업 모두 높은 비용과 생산 문제 등으로 인해 채굴 중단 위기에 처해 있다"며 "단일 사업체로 지분을 재편하는 등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3개 기업의 뉴칼레도니아산 니켈 생산량은 약 9만t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1위 니켈 생산국 인도네시아에 비하면 한참 뒤처진다. 인도네시아는 중국의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지난해에만 전 세계 니켈 공급량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160만t을 생산했다. 인도네시아산 니켈 생산량 급증으로 인해 지난해 t당 2만5000달러에 달했던 니켈 가격은 올초 이후 거의 40% 하락한 t당 1만8500달러로 떨어졌다.
인도네시아 니켈 투자 확대 계획을 밝힌 한국 최대 비철금속 업체 고려아연의 박기덕 사장은 최근 FT에 "인도네시아의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조치 등로 인해 (인도네시아 니켈 채굴 및 제련 산업을 장악한) 중국 기업과 조만간 공평한 경쟁 환경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0년부터 니켈 원광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현지에서 채굴한 니켈 원광을 가공해 중간재 형태로 국내 반입하는 사업을 검토 중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글렌코어는 최근 "뉴칼레도니아의 코암니보 니켈 광산에 대한 자금 조달을 2024년 2월부로 중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코암니보 광산은 뉴칼레도니아 주정부 산하 기업과 글렌코어가 지분을 각각 51%, 49%씩 소유하고 있다. 2014년 첫 니켈 생산이 시작된 이래 글렌코어가 코암니보 광산 프로젝트에 들인 투자금은 90억달러가량이다.
글렌코어는 "코암니보 광산 비용 구조, 글로벌 니켈 시장 상황과 관련해 통제 할 수 없는 요인들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재정적으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상당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2월 전까지) 광산에 투입될 대체 자금원을 찾는 등 지속적인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글렌코어는 석탄사업 호조로 지난해 200억달러에 달하는 당기순이익을 냈지만, 코니아보 광산에서는 2년 연속 총 3억5000만달러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코암니보 광산 폐쇄는 인도네시아산 니켈의 과잉 공급이 다른 국가 및 지역의 니켈 생산 프로젝트를 잠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이번 폐쇄로 인해 공급망이 대부분 중국 기업에 의해 통제되는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량에 대한 국제 사회 의존도를 더욱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연합(EU)은 전기차 배터리용 필수 광물인 니켈을 '전략 원자재'로 지정해 역내 생산 및 가공을 촉진하고 공급원을 다변화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올해 7월 한 보고서에서 "뉴칼레도니아가 2030년까지 프랑스 배터리 공장에 필요한 니켈의 85%를 공급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뉴칼레도니아는 유럽의 '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글렌코어(코암니보 광산), 트라피구라(고로 광산) 등 뉴칼레도니아 역내에서 사업 중인 3개 기업 모두 높은 비용과 생산 문제 등으로 인해 채굴 중단 위기에 처해 있다"며 "단일 사업체로 지분을 재편하는 등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3개 기업의 뉴칼레도니아산 니켈 생산량은 약 9만t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1위 니켈 생산국 인도네시아에 비하면 한참 뒤처진다. 인도네시아는 중국의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지난해에만 전 세계 니켈 공급량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160만t을 생산했다. 인도네시아산 니켈 생산량 급증으로 인해 지난해 t당 2만5000달러에 달했던 니켈 가격은 올초 이후 거의 40% 하락한 t당 1만8500달러로 떨어졌다.
인도네시아 니켈 투자 확대 계획을 밝힌 한국 최대 비철금속 업체 고려아연의 박기덕 사장은 최근 FT에 "인도네시아의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조치 등로 인해 (인도네시아 니켈 채굴 및 제련 산업을 장악한) 중국 기업과 조만간 공평한 경쟁 환경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0년부터 니켈 원광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현지에서 채굴한 니켈 원광을 가공해 중간재 형태로 국내 반입하는 사업을 검토 중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