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 추 부총리.  /뉴스1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 추 부총리. /뉴스1
지난 8월 산업 생산이 30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의 최대 수출상품인 반도체 생산이 반등한 영향이다. 생산뿐 아니라 설비투자도 1년 만에 최대폭으로 늘었다. 기획재정부는 “경기 반등 조짐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고금리, 고유가가 경기 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산업 생산 증가 이끈 반도체

산업생산 대폭 늘었지만…경기불안 여전
통계청이 4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8월 전 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2.1(2020년=100)로 전월보다 2.2% 증가했다. 2021년 2월(2.3%) 후 30개월 만의 최대 증가율이다.

광공업(5.5%), 건설업(4.4%), 서비스업(0.3%), 공공행정(2.5%) 등 전 분야에서 생산이 증가했다. 전 산업 생산을 구성하는 4개 부문에서 생산이 모두 증가한 건 2022년 3월 이후 1년5개월 만이다. 특히 광공업 생산은 2020년 6월(6.4%) 후 3년2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반도체 생산이 전달보다 13.4% 늘어나며 전 산업 생산 증가를 이끌었다. 지난 3월(30.9%) 후 최대 증가율이다. 작년 7월 이후 줄곧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도체 생산이 바닥권을 벗어난 데 힘입어 제조업 생산은 5.6% 증가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전달보다 3.4%포인트 상승한 73.4%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74.3%) 후 1년 만의 최고 수준이다. 제조업 재고율은 전월보다 0.3%포인트 상승한 124.6%를 기록했다.

○설비투자, 1년 만에 최대 폭 증가

8월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3.6% 증가했다. 지난해 8월(8.9%) 후 1년 만의 최대 증가율이다. 국제 여객 이동과 물동량이 늘면서 운송장비 투자가 13.1% 급증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14.9% 감소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설비투자가 전월보다 증가한 것은 7월 설비투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기저효과 때문”이라며 “작년보다 기계류·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감소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인다”고 말했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0.3% 줄면서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와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가 일제히 줄었다. 고금리로 소비가 위축됐고, 최근 소비 흐름이 재화보다 서비스에 집중된 결과라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4로 0.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6월(-0.2포인트), 7월(-0.5포인트)에 이어 석 달째 하락세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3으로 전월과 같았다.

○경기 회복될까

기재부는 광공업 중심의 회복세가 강화하면서 산업활동 지표가 상당 폭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흐름과 미국 경제의 연착륙 기대, 중국 단체 관광 재개 등이 생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양호한 고용 상황과 누적된 가계 저축, 첨단산업 중심의 투자 수요가 지속되고 있어 소비와 투자도 개선될 수 있다고 밝혔다. 상반기 부진했던 경기가 하반기 회복되는 ‘상저하고’ 전망에 힘을 실은 것이다. 다만 기재부도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유가 상승, 고금리의 장기화 가능성, 가계부채, 건설 수주 부진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국제 유가가 오르면서 연말까지 물가 하락 요인이 잘 보이지 않는 데다 중국 경기도 뚜렷한 회복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며 “한국의 경기 회복을 판단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