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죽어가는 건축산업, 이대로는 미래가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당경쟁과 저임금, 인재 이탈 심각
품질 저하와 안전 문제 우려 커져
심은지 건설부동산부 기자
품질 저하와 안전 문제 우려 커져
심은지 건설부동산부 기자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은커녕 부실 설계를 우려해야 할 참담한 상황입니다.”
지난 4일 열린 ‘건축서비스산업 정상화를 위한 토론회’에선 건축사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대한건축사협회와 김학용(국민의힘)·김수흥(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 토론회는 건축계에 만연한 가격 후려치기와 저임금 구조, 건축물 품질 저하 등의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해 마련됐다.
건축서비스산업은 건축물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연구, 조사, 자문, 설계, 감리 등과 관련된 활동을 의미한다. 산업 규모가 241조원(2020년 수주액 기준)에 이르고, 고용유발효과도 제조업의 1.6배에 달한다. 하지만 산업 생태계는 그야말로 엉망진창이다.
과당 경쟁으로 설계비가 20년 전 수준에 머문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위기 직후인 1999년 ‘건축사업무 및 보수기준’이 폐지되면서 저가 수주가 본격화됐다. 2009년 관련 법이 개정돼 공공건축물에 대한 대가 기준은 부활했다. 하지만 전체 건축산업의 80%를 차지하는 민간건축물은 마땅한 대가 기준이 없다. 민간 설계비는 공공의 약 20%에 그치고 있다.
저임금과 과중한 업무 등으로 전문인력 이탈은 심각한 수준이다. 건축공간연구원에 따르면 건축학과 졸업생 중 46%만 건축업계에서 일자리를 구한다. 취업 기피 이유는 낮은 급여와 불안정한 미래다. 한 건축사사무소 대표는 “5년제 건축학과 출신 직원은 구하기 어렵고, 설사 구하더라도 제대로 임금을 주기 힘들다”며 “어쩔 수 없이 견적 설계 등은 고등학교를 막 졸업한 비전문가에게 맡기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지식서비스 산업을 공짜로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도 건축산업을 좀먹고 있다.
국내에선 설계 변경 등을 공짜로 요구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해체공사 감리업무, 보고서 작성 업무, 인허가 업무 대행 등 건축사 업무에 대한 대가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이런 관행을 이용해 일부 건축주는 ‘설계 쇼핑’을 즐긴다. 여러 건축사에게 설계 제안을 요청한 뒤 좋은 설계를 훔치는 행태다.
건축서비스산업이 처한 위기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품질 높은 건축물은 도시 경쟁력을 결정한다. 무엇보다 안전과도 직결된다. 설계 품질 저하는 부실시공 등 안전사고로 이어진다. 지난 4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인천 검단신도시 자이 아파트 주차장 붕괴 사고도 구조 설계상 문제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더 늦기 전에 건축업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지난 4일 열린 ‘건축서비스산업 정상화를 위한 토론회’에선 건축사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대한건축사협회와 김학용(국민의힘)·김수흥(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 토론회는 건축계에 만연한 가격 후려치기와 저임금 구조, 건축물 품질 저하 등의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해 마련됐다.
건축서비스산업은 건축물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연구, 조사, 자문, 설계, 감리 등과 관련된 활동을 의미한다. 산업 규모가 241조원(2020년 수주액 기준)에 이르고, 고용유발효과도 제조업의 1.6배에 달한다. 하지만 산업 생태계는 그야말로 엉망진창이다.
과당 경쟁으로 설계비가 20년 전 수준에 머문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위기 직후인 1999년 ‘건축사업무 및 보수기준’이 폐지되면서 저가 수주가 본격화됐다. 2009년 관련 법이 개정돼 공공건축물에 대한 대가 기준은 부활했다. 하지만 전체 건축산업의 80%를 차지하는 민간건축물은 마땅한 대가 기준이 없다. 민간 설계비는 공공의 약 20%에 그치고 있다.
저임금과 과중한 업무 등으로 전문인력 이탈은 심각한 수준이다. 건축공간연구원에 따르면 건축학과 졸업생 중 46%만 건축업계에서 일자리를 구한다. 취업 기피 이유는 낮은 급여와 불안정한 미래다. 한 건축사사무소 대표는 “5년제 건축학과 출신 직원은 구하기 어렵고, 설사 구하더라도 제대로 임금을 주기 힘들다”며 “어쩔 수 없이 견적 설계 등은 고등학교를 막 졸업한 비전문가에게 맡기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지식서비스 산업을 공짜로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도 건축산업을 좀먹고 있다.
국내에선 설계 변경 등을 공짜로 요구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해체공사 감리업무, 보고서 작성 업무, 인허가 업무 대행 등 건축사 업무에 대한 대가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이런 관행을 이용해 일부 건축주는 ‘설계 쇼핑’을 즐긴다. 여러 건축사에게 설계 제안을 요청한 뒤 좋은 설계를 훔치는 행태다.
건축서비스산업이 처한 위기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품질 높은 건축물은 도시 경쟁력을 결정한다. 무엇보다 안전과도 직결된다. 설계 품질 저하는 부실시공 등 안전사고로 이어진다. 지난 4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인천 검단신도시 자이 아파트 주차장 붕괴 사고도 구조 설계상 문제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더 늦기 전에 건축업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