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반값'에 나왔다고?…"그래도 안 사요" 절레절레 [심은지의 경매 인사이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오피스텔 경매 낙찰률 10%대
전체 142건 중 16건만 주인 찾아
반값 오피스텔도 고개 '절레절레'
전체 142건 중 16건만 주인 찾아
반값 오피스텔도 고개 '절레절레'
한때 아파트 대체재로 큰 인기를 끌었던 오피스텔이 경매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다.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낙찰률(진행 건수 대비 낙찰 건수)은 11%대를 나타냈다. 10건 중 1건만 겨우 낙찰자를 구했단 얘기다. 고금리 장기화와 전세 사기 여파로 오피스텔 매수 심리가 얼어붙었다는 분석이다.
6일 경·공매 데이터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낙찰률은 11.3%를 나타냈다. 전체 142건 중 단 16건만 낙찰됐다. 전달(12.9%) 대비 1.6%포인트 내린 수치다. 낙찰률이 낮다는 건 그만큼 오피스텔 입찰에 참여하는 사람이 없다는 얘기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율)도 88%에 그쳤다.
찾는 사람이 없다 보니 경매 시장에는 오피스텔이 갈수록 쌓이고 있다. 경매 시장에 나온 서울 지역의 오피스텔은 지난 7월 78건, 8월 116건, 지난달 142건 등으로 증가세가 가파르다. 2년 전인 2021년 9월엔 경매 진행 물건이 14건에 불과했고 한 해 전인 작년 9월에도 44건에 그쳤던 것과 대비된다.
인천, 경기 등 다른 지역의 오피스텔도 비슷한 분위기다. 여러 번 유찰된 매물이 쌓여도 응찰자를 찾기 어렵다. 인천 오피스텔 낙찰률은 지난달 5.8%, 낙찰가율은 74.9%를 나타냈다. 경기 지역은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각각 34.7%, 76.1%로 집계됐다. 금리, 전세 사기 등의 여파로 오피스텔 매수세가 메말랐다는 분석이다. 지난 1월 정부의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 완화로 반등세를 보인 아파트와 달리 그동안 아파트 대상의 규제로 반사이익을 누리던 오피스텔은 찬밥 신세로 전락했다. 금리가 오르면 수익이 낮아지는 구조인 만큼 고금리 장기화도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엔 직격탄이다. 전세 사기, 깡통전세 등의 사회적 문제도 오피스텔과 빌라에 집중되다 보니 수요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 A 오피스텔 전용 20㎡는 여덟 차례 유찰됐지만,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감정가가 1억1300만원인데 전세 보증금이 1억2500만원이다. 집값보다 전셋값이 높은 깡통주택인 셈이다. 경기 부천 중동의 B 오피스텔(전용 33㎡) 역시 세 차례 유찰돼 최저입찰가가 3800여만원에 불과하다. 감정가(1억1300만원)의 34% 수준이다. 선순위 임차인의 보증금(1억원)을 더하면 시세보다 비싸게 매수하는 만큼 이달 진행할 네 번째 매각에서도 유찰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그나마 인기 지역이나 선순위 임차인이 없는 오피스텔은 30~40% 할인된 금액에 새 주인을 찾고 있다.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의 C 오피스텔 전용 78㎡짜리는 지난달 12일 감정가(2억7300만원)의 66%인 1억8000여만원에 매각됐다. 두 차례 유찰로 최저입찰가가 1억3000만원까지 떨어지자 응찰자 11명이 몰렸다.
경기 수원 권선구 금곡동의 D 오피스텔(전용 49㎡)도 지난달 6일 낙찰가율 76.4%에 새 주인을 찾았다. 선순위 임차인이 없는 이 오피스텔은 두 차례 유찰로 인해 최저입찰가가 감정가(2억3000여만원)의 반값 이하로 떨어진 상황이었다. 응찰자 22명이 입찰에 참여해 1억8000여만원에 매각됐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6일 경·공매 데이터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낙찰률은 11.3%를 나타냈다. 전체 142건 중 단 16건만 낙찰됐다. 전달(12.9%) 대비 1.6%포인트 내린 수치다. 낙찰률이 낮다는 건 그만큼 오피스텔 입찰에 참여하는 사람이 없다는 얘기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율)도 88%에 그쳤다.
찾는 사람이 없다 보니 경매 시장에는 오피스텔이 갈수록 쌓이고 있다. 경매 시장에 나온 서울 지역의 오피스텔은 지난 7월 78건, 8월 116건, 지난달 142건 등으로 증가세가 가파르다. 2년 전인 2021년 9월엔 경매 진행 물건이 14건에 불과했고 한 해 전인 작년 9월에도 44건에 그쳤던 것과 대비된다.
인천, 경기 등 다른 지역의 오피스텔도 비슷한 분위기다. 여러 번 유찰된 매물이 쌓여도 응찰자를 찾기 어렵다. 인천 오피스텔 낙찰률은 지난달 5.8%, 낙찰가율은 74.9%를 나타냈다. 경기 지역은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각각 34.7%, 76.1%로 집계됐다. 금리, 전세 사기 등의 여파로 오피스텔 매수세가 메말랐다는 분석이다. 지난 1월 정부의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 완화로 반등세를 보인 아파트와 달리 그동안 아파트 대상의 규제로 반사이익을 누리던 오피스텔은 찬밥 신세로 전락했다. 금리가 오르면 수익이 낮아지는 구조인 만큼 고금리 장기화도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엔 직격탄이다. 전세 사기, 깡통전세 등의 사회적 문제도 오피스텔과 빌라에 집중되다 보니 수요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 A 오피스텔 전용 20㎡는 여덟 차례 유찰됐지만,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감정가가 1억1300만원인데 전세 보증금이 1억2500만원이다. 집값보다 전셋값이 높은 깡통주택인 셈이다. 경기 부천 중동의 B 오피스텔(전용 33㎡) 역시 세 차례 유찰돼 최저입찰가가 3800여만원에 불과하다. 감정가(1억1300만원)의 34% 수준이다. 선순위 임차인의 보증금(1억원)을 더하면 시세보다 비싸게 매수하는 만큼 이달 진행할 네 번째 매각에서도 유찰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그나마 인기 지역이나 선순위 임차인이 없는 오피스텔은 30~40% 할인된 금액에 새 주인을 찾고 있다.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의 C 오피스텔 전용 78㎡짜리는 지난달 12일 감정가(2억7300만원)의 66%인 1억8000여만원에 매각됐다. 두 차례 유찰로 최저입찰가가 1억3000만원까지 떨어지자 응찰자 11명이 몰렸다.
경기 수원 권선구 금곡동의 D 오피스텔(전용 49㎡)도 지난달 6일 낙찰가율 76.4%에 새 주인을 찾았다. 선순위 임차인이 없는 이 오피스텔은 두 차례 유찰로 인해 최저입찰가가 감정가(2억3000여만원)의 반값 이하로 떨어진 상황이었다. 응찰자 22명이 입찰에 참여해 1억8000여만원에 매각됐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