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궁 임시현·배드민턴 안세영…신예들 'AG 하드캐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韓, 금메달 42개·종합 3위
펜싱·양궁·태권도 '역시 효자'
수영 경영, 역대 최다 금메달
레슬링·복싱 등은 기대 못미쳐
펜싱·양궁·태권도 '역시 효자'
수영 경영, 역대 최다 금메달
레슬링·복싱 등은 기대 못미쳐
한국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42개, 은메달 59개, 동메달 89개를 수확하며 종합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도전장을 내며 세운 목표(금 50개·종합 3위)를 고려하면 ‘절반의 성공’이다. 하지만 대회를 마친 한국 선수단의 분위기는 그 어느 때보다 밝다.
펜싱(금 6개)과 양궁(4개), 태권도(5개) 등 ‘효자 종목’은 여전히 약진했다. 여기에 5년 전 노메달 굴욕을 안겨준 배드민턴(2개), 종합 2위를 달성한 수영 경영(6개) 등에서도 연일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2024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훨씬 더 다양한 종목에서 국제 경쟁력을 입증한 셈이다. 이번 대회에선 특히 여성 선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여성 선수들은 190개 메달 중 86개(혼성 종목 11개 포함)를 획득했다. 부상을 이겨내거나 팀의 승리를 이끄는 등의 감동 스토리도 유독 많았다.
‘포스트 장미란’으로 불리는 역도 대표팀 박혜정(20)은 최중량급에서 13년 만에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목에 걸며 한국 역도의 미래를 밝혔다. 손영희와 윤하제(은메달), 정아람과 김수현(동메달)도 메달을 추가했다.
양궁 대표팀 막내인 임시현은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물론 세계 양궁 팬에게 이름 석 자를 확실히 알렸다. 임시현은 양궁 리커브 혼성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을 석권했고, 이어 열린 여자 개인전 결승에서도 ‘도쿄올림픽 3관왕’이자 대표팀 선배인 안산(22)을 세트 점수 6-0으로 완파하고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선수가 아시안게임 양궁에서 3관왕에 오른 것은 1986년 서울 대회 양창훈(4관왕), 김진호, 박정아(이상 3관왕) 이후 37년 만이다. 이 밖에 여자 탁구의 신유빈(19)과 전지희(31)는 환상의 호흡으로 탁구 여자 복식에서 21년 만에 금메달을 따냈다.
그동안 중국과 일본에 밀렸던 수영 종목의 활약은 이번 대회 한국의 가장 큰 소득 중 하나다. 한국 수영은 남자 선수들을 앞세워 경영 종목에서 금 6개, 은 6개, 동 10개를 쓸어 담아 역대 아시안게임 수영 종목 최다 금메달 기록(2010년 광저우 대회 4개)을 경신했다. 또 계영 6개 종목에서 모두 한국 신기록이 나오는 등 무려 14개 종목에서 한국 기록을 싹 갈아치웠다.
조희찬 기자 etwoods@hankyung.com
펜싱(금 6개)과 양궁(4개), 태권도(5개) 등 ‘효자 종목’은 여전히 약진했다. 여기에 5년 전 노메달 굴욕을 안겨준 배드민턴(2개), 종합 2위를 달성한 수영 경영(6개) 등에서도 연일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2024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훨씬 더 다양한 종목에서 국제 경쟁력을 입증한 셈이다. 이번 대회에선 특히 여성 선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여성 선수들은 190개 메달 중 86개(혼성 종목 11개 포함)를 획득했다. 부상을 이겨내거나 팀의 승리를 이끄는 등의 감동 스토리도 유독 많았다.
190개 중 86개 메달 휩쓴 여성 선수들
이번 대회를 떠올릴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얼굴 중 하나는 안세영(21)이다. 한국 배드민턴 대표팀은 안세영을 필두로 이번 대회를 금 2개, 은 2개, 동 3개로 마무리했다. 2002년 부산 대회 이후 최대 성과다. 한국 배드민턴은 직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 40년 만의 아시안게임 ‘노메달’ 불명예를 얻은 후 세대교체에 매진했다. 안세영은 여자단체전 1경기 여자 단식을 따내며 대표팀의 단체전 금메달을 이끌었다. 여자 단식에선 자신의 ‘천적’으로 군림하던 천위페이(중국)를 세트스코어 2-1로 꺾고 2관왕에 올랐다. 안세영은 결승전에서 무릎 부상 악재에도 3세트까지 완주해 승리하는 투혼을 보여줬다.‘포스트 장미란’으로 불리는 역도 대표팀 박혜정(20)은 최중량급에서 13년 만에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목에 걸며 한국 역도의 미래를 밝혔다. 손영희와 윤하제(은메달), 정아람과 김수현(동메달)도 메달을 추가했다.
양궁 대표팀 막내인 임시현은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물론 세계 양궁 팬에게 이름 석 자를 확실히 알렸다. 임시현은 양궁 리커브 혼성 단체전과 여자 단체전을 석권했고, 이어 열린 여자 개인전 결승에서도 ‘도쿄올림픽 3관왕’이자 대표팀 선배인 안산(22)을 세트 점수 6-0으로 완파하고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선수가 아시안게임 양궁에서 3관왕에 오른 것은 1986년 서울 대회 양창훈(4관왕), 김진호, 박정아(이상 3관왕) 이후 37년 만이다. 이 밖에 여자 탁구의 신유빈(19)과 전지희(31)는 환상의 호흡으로 탁구 여자 복식에서 21년 만에 금메달을 따냈다.
잘 싸운 효자 종목, 새 ‘메달밭’ 된 수영
‘국기’ 태권도에선 금 5개와 은 2개, 동 2개가 나오면서 종목에 걸린 13개 금메달 중 절반 가까이 휩쓸었다. 펜싱에서도 금메달이 쏟아졌다. 한국 펜싱은 이번 대회에서 금 6개, 은 3개, 동 3개를 획득해 2010년 광저우 대회부터 4회 연속 종목별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양궁에선 리커브 대표팀이 5개의 금메달 중 4개를 쓸어 담아 메달 레이스에 힘을 보탰다.그동안 중국과 일본에 밀렸던 수영 종목의 활약은 이번 대회 한국의 가장 큰 소득 중 하나다. 한국 수영은 남자 선수들을 앞세워 경영 종목에서 금 6개, 은 6개, 동 10개를 쓸어 담아 역대 아시안게임 수영 종목 최다 금메달 기록(2010년 광저우 대회 4개)을 경신했다. 또 계영 6개 종목에서 모두 한국 신기록이 나오는 등 무려 14개 종목에서 한국 기록을 싹 갈아치웠다.
얇은 선수층 문제는 여전
항저우 아시안게임은 우리 체육계가 지닌 문제점이 뚜렷이 드러난 무대이기도 했다. 한국은 선수 부족에 따른 국제 경쟁력 약화로 그나마 ‘만만한’ 대회였던 아시안게임에서조차 2회 연속 3위로 밀렸다. 5년 전 일본에 금메달 수에서 26개가 뒤졌던 한국은 그나마 이번에 차이를 10개로 좁혔지만 일본이 파리올림픽에 집중하기 위해 2진급 선수를 주로 내보낸 것을 고려하면 만족할 만한 성적표라고 보기 힘들다. 또 사격(2개)과 ‘노골드’에 그친 레슬링, 복싱의 몰락은 스포츠계 숙제로 남았다.조희찬 기자 etwood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