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만 명 넘는 고등학생이 학교를 관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 재개된 대면 수업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자퇴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주요 대학이 정시 비중을 늘리면서 수능에 집중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자퇴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퇴한 고등학생은 2만3440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2만4068명이던 자퇴생 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원격 수업이 확대된 2020년 1만5163명으로 줄었다가 2021년(1만9467명)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교육계에선 다시 시작된 대면 수업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자퇴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서울 주요 대학이 정시 모집 비중을 40% 이상으로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이 같은 변화에 더 힘을 싣는 양상이다. 고교 입학 후 내신성적이 나쁘면 1학년 2학기 때 자퇴하고, 이듬해 4월 검정고시에 합격해 11월 수능을 치는 전략을 택하는 학생이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방법을 쓰면 남보다 1년 먼저 수능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성적이 나쁘더라도 고3 나이 때 또 수능을 치를 수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시가 아니라 정시에 집중 대비하기 위해 전략적 선택에 따라 자퇴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고교 자퇴생 가운데 51.5%(1만2078명)가 1학년이었다. 2학년(39.6%), 3학년(8.9%)보다 많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 비율도 2019년부터 매년 0.7%→0.9%→1.1%→1.2%→1.3%로 상승하고 있다.

강 의원은 “교육 현장에서는 고교 자퇴생 증가 흐름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한다”며 “교육당국의 제도 보완과 공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