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대입] '과목간 유불리·문과 침공' 논란에 선택과목 없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학, '미적분Ⅱ+기하' 선택과목 도입 여부 주목
교육부가 10일 공개한 2028학년도 대입개편 시안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공통과목 체제로 바꾸기로 한 것은 선택과목을 둘러싸고 심화한 '공정성 논란' 때문으로 풀이된다.
학생들이 진로·적성과 관계없이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는 선택과목에 몰리고, 대학 전공과 관계없는 과목을 택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1999학년도 수리탐구Ⅱ영역(현 사회·과학탐구)에 선택과목이 도입되고 표준점수가 사용되면서 '과목별 유불리' 논란은 계속 있어 왔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떨어지면 원점수 최고점자(통상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올라간다.
이 때문에 모든 문제를 다 맞아도 다른 선택과목 만점자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다.
수능 출제를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선택과목 도입 이후 과목 간 유불리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하지만 2022학년도에 주요 영역인 국어와 수학까지 선택과목 체제가 되면서 수험생들의 혼란은 더 커졌다.
평가원은 선택과목에 따른 최고점을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지만, 입시업계에서는 국어영역의 경우 '언어와 매체', 수학영역은 '미적분'이 다른 선택과목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3점 안팎 높은 것으로 본다.
이 때문에 2022학년도(원서접수자 기준)에 국어영역 응시자 가운데 29.4%에 불과했던 '언어와 매체' 선택자는 올해 치러질 2024학년도 수능에서는 38.9%까지 늘었다.
2022학년도 수학영역에서 38.2%였던 '미적분' 응시자 비율은 2년 만에 49.2%까지 상승했다. 수험생들이 진로·적성을 고려해 과목을 택하기보다는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는 과목으로 '대이동'한 셈이다.
이규민 전(前)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2023학년도 수능이 치러진 2022년 11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 문제(선택과목별 유불리 현상)를 완전히 해소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사실상 선택과목 간 점수 차를 없애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특정 과목 쏠림 현상은 대학 지원 과정에서 '문과 침공' 논란을 낳기도 했다.
통상 수학에서 '미적분', 탐구영역에서 '과학탐구' 선택 수험생을 자연계열(이과) 진학 희망자로 보는데, 미적분 등에서 높은 표준점수를 받은 이과 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에 대거 교차지원해 합격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올해 1월 교육부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대학 입학처장 간담회에서는 '문과 침공'으로 합격한 이과 학생들이 전공에 적응하지 못하고 재수를 결심하는 사례가 있다며 수능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다만 교육부는 수학에서 미적분Ⅱ와 기하를 합친 '심화수학'을 선택과목으로 남겨둘 가능성은 열어놨다.
대학에서 첨단분야 전공을 택하려면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들 과목을 제대로 수학했는지 측정할 필요가 있다는 학계의 강력한 요구이기 때문이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학 출제범위에 따라) 이공계의 '학력 저하' 주장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대학들이 필요할 경우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미적분Ⅱ·기하 과목의) 고교 이수 사실을 평가와 연관짓게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교육부가 10일 공개한 2028학년도 대입개편 시안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공통과목 체제로 바꾸기로 한 것은 선택과목을 둘러싸고 심화한 '공정성 논란' 때문으로 풀이된다.
학생들이 진로·적성과 관계없이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는 선택과목에 몰리고, 대학 전공과 관계없는 과목을 택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1999학년도 수리탐구Ⅱ영역(현 사회·과학탐구)에 선택과목이 도입되고 표준점수가 사용되면서 '과목별 유불리' 논란은 계속 있어 왔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떨어지면 원점수 최고점자(통상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올라간다.
이 때문에 모든 문제를 다 맞아도 다른 선택과목 만점자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다.
수능 출제를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선택과목 도입 이후 과목 간 유불리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하지만 2022학년도에 주요 영역인 국어와 수학까지 선택과목 체제가 되면서 수험생들의 혼란은 더 커졌다.
평가원은 선택과목에 따른 최고점을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지만, 입시업계에서는 국어영역의 경우 '언어와 매체', 수학영역은 '미적분'이 다른 선택과목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3점 안팎 높은 것으로 본다.
이 때문에 2022학년도(원서접수자 기준)에 국어영역 응시자 가운데 29.4%에 불과했던 '언어와 매체' 선택자는 올해 치러질 2024학년도 수능에서는 38.9%까지 늘었다.
2022학년도 수학영역에서 38.2%였던 '미적분' 응시자 비율은 2년 만에 49.2%까지 상승했다. 수험생들이 진로·적성을 고려해 과목을 택하기보다는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는 과목으로 '대이동'한 셈이다.
이규민 전(前)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2023학년도 수능이 치러진 2022년 11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 문제(선택과목별 유불리 현상)를 완전히 해소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사실상 선택과목 간 점수 차를 없애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특정 과목 쏠림 현상은 대학 지원 과정에서 '문과 침공' 논란을 낳기도 했다.
통상 수학에서 '미적분', 탐구영역에서 '과학탐구' 선택 수험생을 자연계열(이과) 진학 희망자로 보는데, 미적분 등에서 높은 표준점수를 받은 이과 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에 대거 교차지원해 합격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올해 1월 교육부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대학 입학처장 간담회에서는 '문과 침공'으로 합격한 이과 학생들이 전공에 적응하지 못하고 재수를 결심하는 사례가 있다며 수능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다만 교육부는 수학에서 미적분Ⅱ와 기하를 합친 '심화수학'을 선택과목으로 남겨둘 가능성은 열어놨다.
대학에서 첨단분야 전공을 택하려면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들 과목을 제대로 수학했는지 측정할 필요가 있다는 학계의 강력한 요구이기 때문이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학 출제범위에 따라) 이공계의 '학력 저하' 주장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대학들이 필요할 경우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미적분Ⅱ·기하 과목의) 고교 이수 사실을 평가와 연관짓게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