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대입] 교육은 '백년지대계'인데…10년을 못 가고 '오락가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8학년도 대입개편 시안이 공개되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주요영역에 선택과목 체제를 도입한 지 6년 만에 공통과목 체제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
대입제도 개편과 교육과정 개정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 저출생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등 사회 변화에 맞춰 미래형 인재를 키워내기 위한 불가피한 작업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잦은 입시제도의 변화가 교육열이 높고 경쟁이 치열한 한국의 현실과 맞물려 학생·학부모에게 큰 부담이 된다고 지적한다.
10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입제도는 예비고사+대학별 본고사 체제(1969∼1981학년도)와 학력고사 체제(1982∼1993학년도)를 큰 전환점으로 삼으면서 변화해 왔다.
이후 암기식 교육을 지양하고 '고교 교육과정의 수준과 내용에 맞춰 사고력을 측정한다'는 목표로 1994학년도 수능이 도입됐다.
1997학년도부터는 고교 교과성적과 비교과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수시모집이 시작되고 그 비중이 점차 커졌지만, 정시모집 주요 전형요소인 수능은 여전히 대입제도의 중심축이다.
하지만 수능 역시 시험 체제나 평가방식 측면에서 짧게는 1년, 길게는 5∼6년을 주기로 계속 변화해 왔고, 수능이 개편될 때마다 학생·학부모들 사이에서는 큰 파장이 일었다.
이 때문에 교육계에서는 입시 사교육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무것도 바꾸지 않는 것'이라는 자조 섞인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첫 수능은 1993년 8월과 11월 두 차례 시행됐지만, 당시 2차 수능이 너무 어렵게 출제돼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판이 나오자 이듬해부터 연 1회 시행으로 바꿨다.
1999학년도부터는 수리탐구Ⅱ영역에서 선택 과목제가 도입되고, 선택과목 간 유불리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표준점수가 사용됐다.
표준점수는 학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나타내는 점수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아지면 원점수 최고점자(통상 '만점자')의 표준점수가 올라간다.
2002학년도에는 성적 9등급제가 도입됐다.
성적 상위 4%는 1등급, 그다음 7%는 2등급으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국어·수학·탐구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2005학년도에는 모든 시험과목에 응시하는 대신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볼 수 있는 '선택형 수능'이 도입됐다.
2008학년도 수능에서는 성적통지표에 표준점수와 백분위를 표기하지 않고 등급만 표기했으나, 학생들이 대학 지원에 혼란을 느낀다는 지적에 따라 1년 만인 2009학년도부터 이전 방식으로 돌아갔다.
2014학년도에는 국어·수학·영어를 비교적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으로 나눠 치르는 '수준별 시험'이 도입됐다.
하지만 이 역시 수험생 혼란 때문에 영어는 1년 만에, 국어는 3년 만에 '원위치'됐다.
2017학년도 수능에서는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됐고, 2018학년도 수능에서는 영어영역이 절대평가로 바뀌었다.
이후 2022학년도부터는 문·이과 통합형 수능을 실시하고, 진로·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늘린다는 취지로 국어와 수학영역에서 '공통+선택과목' 체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이 역시 과목 간 유불리 논란과 이에 따른 특정 과목 쏠림 현상, 자연계열에 응시하려던 학생이 높은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대학 인문사회계열에 응시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 등이 문제 되면서 6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교육계에서는 논·서술형 문항 도입 필요성 등이 꾸준히 제기되는만큼, 조만간 다시 수능 개편 논의가 진행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은 "바뀌는 환경에 맞춰 (대입제도도) 개편할 필요도 있다"며 "다만 선택과목 문제 등은 당장 조정하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국가교육위원회가 10년 단위 계획(국가교육발전계획)에서 (대입제도를) 다뤄 발표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대입제도 개편과 교육과정 개정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 저출생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등 사회 변화에 맞춰 미래형 인재를 키워내기 위한 불가피한 작업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잦은 입시제도의 변화가 교육열이 높고 경쟁이 치열한 한국의 현실과 맞물려 학생·학부모에게 큰 부담이 된다고 지적한다.
10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입제도는 예비고사+대학별 본고사 체제(1969∼1981학년도)와 학력고사 체제(1982∼1993학년도)를 큰 전환점으로 삼으면서 변화해 왔다.
이후 암기식 교육을 지양하고 '고교 교육과정의 수준과 내용에 맞춰 사고력을 측정한다'는 목표로 1994학년도 수능이 도입됐다.
1997학년도부터는 고교 교과성적과 비교과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수시모집이 시작되고 그 비중이 점차 커졌지만, 정시모집 주요 전형요소인 수능은 여전히 대입제도의 중심축이다.
하지만 수능 역시 시험 체제나 평가방식 측면에서 짧게는 1년, 길게는 5∼6년을 주기로 계속 변화해 왔고, 수능이 개편될 때마다 학생·학부모들 사이에서는 큰 파장이 일었다.
이 때문에 교육계에서는 입시 사교육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무것도 바꾸지 않는 것'이라는 자조 섞인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첫 수능은 1993년 8월과 11월 두 차례 시행됐지만, 당시 2차 수능이 너무 어렵게 출제돼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판이 나오자 이듬해부터 연 1회 시행으로 바꿨다.
1999학년도부터는 수리탐구Ⅱ영역에서 선택 과목제가 도입되고, 선택과목 간 유불리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표준점수가 사용됐다.
표준점수는 학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나타내는 점수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아지면 원점수 최고점자(통상 '만점자')의 표준점수가 올라간다.
2002학년도에는 성적 9등급제가 도입됐다.
성적 상위 4%는 1등급, 그다음 7%는 2등급으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국어·수학·탐구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2005학년도에는 모든 시험과목에 응시하는 대신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볼 수 있는 '선택형 수능'이 도입됐다.
2008학년도 수능에서는 성적통지표에 표준점수와 백분위를 표기하지 않고 등급만 표기했으나, 학생들이 대학 지원에 혼란을 느낀다는 지적에 따라 1년 만인 2009학년도부터 이전 방식으로 돌아갔다.
2014학년도에는 국어·수학·영어를 비교적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으로 나눠 치르는 '수준별 시험'이 도입됐다.
하지만 이 역시 수험생 혼란 때문에 영어는 1년 만에, 국어는 3년 만에 '원위치'됐다.
2017학년도 수능에서는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됐고, 2018학년도 수능에서는 영어영역이 절대평가로 바뀌었다.
이후 2022학년도부터는 문·이과 통합형 수능을 실시하고, 진로·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늘린다는 취지로 국어와 수학영역에서 '공통+선택과목' 체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이 역시 과목 간 유불리 논란과 이에 따른 특정 과목 쏠림 현상, 자연계열에 응시하려던 학생이 높은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대학 인문사회계열에 응시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 등이 문제 되면서 6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교육계에서는 논·서술형 문항 도입 필요성 등이 꾸준히 제기되는만큼, 조만간 다시 수능 개편 논의가 진행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은 "바뀌는 환경에 맞춰 (대입제도도) 개편할 필요도 있다"며 "다만 선택과목 문제 등은 당장 조정하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국가교육위원회가 10년 단위 계획(국가교육발전계획)에서 (대입제도를) 다뤄 발표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