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효자 스마트폰…"폴더블 덕에 서프라이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분기에 3.5兆 번 구원투수
프리미엄 제품 판매 늘어
소비자 지갑 닫고 씀씀이 줄자
TV·생활가전부문 '제자리걸음'
프리미엄 제품 판매 늘어
소비자 지갑 닫고 씀씀이 줄자
TV·생활가전부문 '제자리걸음'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에서 올해 3분기 3조5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월 출시된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5시리즈가 세계적인 인기를 끈 영향으로 분석된다. 폴더블폰 출시 시기를 예년보다 보름 정도 앞당겨 신제품 효과를 극대화한 판매 전략이 성과를 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사업부의 3분기 영업이익은 3조5000억원으로, 전 분기(3조400억원) 대비 약 1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 사업에서 낸 3조원대 후반의 영업손실을 메우며 삼성전자의 전체 영업이익(2조4000억원) 증가에 기여했다.
8월 공개한 갤럭시 Z플립5·폴드5가 효자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갤럭시 Z플립5는 외부 화면 대각선 길이를 8.6㎝로 늘려 면적을 약 두 배로 키운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 Z폴드5는 무게가 10g 줄어 ‘휴대성이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두 모델의 정확한 판매량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통신업계에선 “국내 사전판매량이 102만 대로 전작보다 증가하면서 역대 폴더블폰 중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조사업체들은 올해 갤럭시 Z5시리즈를 포함한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량이 지난해 기록한 1000만 대를 무난하게 넘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 Z5시리즈가 출시되며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커졌다”며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평균판매가격(ASP)이 전 분기보다 크게 상승했다”고 말했다.
올해 4분기 실적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연말 쇼핑 시즌이 본격화하면서 폴더블 등 프리미엄 폰과 갤럭시 A시리즈, 갤럭시S23 FE(팬에디션) 등 중저가 스마트폰이 꾸준히 팔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TV와 생활가전의 3분기 실적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소비 둔화로 전 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문 영업이익은 7000억원가량에 그친 것으로 추산된다. 전 분기의 7900억원보다 11.4% 줄어든 수치다. TV 원가가 상승했고 계절적으로 비수기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
11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사업부의 3분기 영업이익은 3조5000억원으로, 전 분기(3조400억원) 대비 약 1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 사업에서 낸 3조원대 후반의 영업손실을 메우며 삼성전자의 전체 영업이익(2조4000억원) 증가에 기여했다.
8월 공개한 갤럭시 Z플립5·폴드5가 효자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갤럭시 Z플립5는 외부 화면 대각선 길이를 8.6㎝로 늘려 면적을 약 두 배로 키운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 Z폴드5는 무게가 10g 줄어 ‘휴대성이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두 모델의 정확한 판매량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통신업계에선 “국내 사전판매량이 102만 대로 전작보다 증가하면서 역대 폴더블폰 중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조사업체들은 올해 갤럭시 Z5시리즈를 포함한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량이 지난해 기록한 1000만 대를 무난하게 넘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 Z5시리즈가 출시되며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커졌다”며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평균판매가격(ASP)이 전 분기보다 크게 상승했다”고 말했다.
올해 4분기 실적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연말 쇼핑 시즌이 본격화하면서 폴더블 등 프리미엄 폰과 갤럭시 A시리즈, 갤럭시S23 FE(팬에디션) 등 중저가 스마트폰이 꾸준히 팔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TV와 생활가전의 3분기 실적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소비 둔화로 전 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문 영업이익은 7000억원가량에 그친 것으로 추산된다. 전 분기의 7900억원보다 11.4% 줄어든 수치다. TV 원가가 상승했고 계절적으로 비수기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