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
사진=로이터
올해 본격적으로 등장한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내년에 찬바람을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높은 비용부담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규제 움직임 등으로 인해 거품이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10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시장분석기관 CCS 인사이트는 연례 보고서를 통해 “내년에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내년에 생성형 AI에 대한 거품이 빠질 것“이라며 ”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 부담과 규제가 증가하면서 생성형 AI 기술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가장 큰 장애물은 높은 비용이다.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학습 및 운영하기 위해 슈퍼컴퓨팅이 필요한데 이와 관련한 비용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LLM 연산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경우 엔비디아의 H100 칩이 개당 4000만원에 달한다. 초거대 LLM을 구동하려면 H100 칩 수천개가 필요하다. 게다가 GPU는 전력 소모량도 많기 때문에 전력 비용 부담도 크다. 챗GPT를 구동하는 LLM GPT-4의 경우 하루 9억원 가량의 운영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벤 우드 CCS 애널리스트는 “생성형 AI를 훈련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큰 비용이 든다”며 “빅테크는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을지 몰라도, 다른 기업과 많은 개발자에게 부담이 너무 크다”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AI 기술을 둘러싼 규제 등도 장애물로 지적된다. 현재 EU 등 여러 국가에서 AI 규제 도입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보고서는 “EU는 AI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처음 도입하겠지만, AI의 발전 속도 때문에 여러 차례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내년 말까지 확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함께 CCS 인사이트는 AI가 만든 콘텐츠를 구분하기 위한 콘텐츠 경고가 곧 추가될 것으로 봤다. 경찰 단속이 본격화하면서 얼굴과 음성을 합성하는 딥페이크 기술을 통한 사기범이 처음 체포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