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11일부터 최대 0.2%p↑…50년만기 주담대 '만34세 이하'로 제한
우리, 13일부터 최대 0.3%p↑…신한 "검토중…이르면 이번주 인상"
다른 은행들도 '대출 쏠림' 우려로 조만간 올릴 듯

주요 시중은행들이 본격적으로 가산금리를 늘리거나 우대금리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대출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다.

최근 빠르게 불어나는 가계대출 수요를 줄여보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 영업점 등에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와 신잔액코픽스 기준 변동금리(6개월 신규)를 각 0.1%p, 0.2%p 인상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내려보냈다.

은행 대출금리 '도미노 인상' 시작…대출 억제 위해 가산금리↑(종합)
신잔액코픽스 기준 전세대출 변동금리(6개월 신규) 역시 0.2%p 높아졌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적정 포트폴리오 유지를 위해 금리 운용 기준을 변경한 것"이라며 "변경 이후에도 당행의 대출금리가 주요 은행들 가운데 낮은 편으로, 특히 혼합형 금리의 경우 은행권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KB국민은행은 오는 13일부터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도 '만 34세 이하'에만 내줄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13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1∼0.2%p 올리고,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0.3%p 상향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신한은행 역시 내부적으로 현재 대출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이르면 이번 주 중 인상이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에서는 시중은행들의 이런 금리 인상과 초장기 대출 상품 연령제한 조치 등을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수요 억제 요청에 대한 호응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 시중 은행 관계자는 "KB나 우리, 신한 외 은행 중에서도 금리 인상을 준비하는 곳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다른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올리는 동안 금리를 같이 인상하지 않고 혼자 가만히 있으면 대출 수요가 폭발적으로 몰리는 쏠림 현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가계대출이 빠르게 늘어나자 금융 당국과 5대 은행 부장단은 매주 금요일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가계대출 동향을 점검하고 수요 억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9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682조3천294억원으로 8월 말(680조8천120억원)보다 1조5천174억원 늘었다.

5월 이후 5개월 연속 증가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2조8천591억원(514조9천997억원→517조8천588억원) 불었는데, 이 증가 폭은 2021년 10월(3조7천989억원) 이후 가장 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