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부진 완화 시사하는 신호 늘어"…이-팔 사태는 반영 안 돼
KDI "경기 부진 점진적 완화…대외 불확실성 상존"
반도체 생산 회복에 힘입어 경기 부진이 점차 완화하고 있다는 국책연구원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1일 발표한 10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대외 불확실성도 상존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번 분석에는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태는 반영되지 못했다.

KDI는 반도체 생산이 회복되면서 제조업 부진이 완화됐다며 "제조업에서 생산 감소 폭이 크게 축소되고 평균가동률이 반등하는 등 부진 완화를 시사하는 신호가 점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전망으로 국내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경기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봤다.

국제 유가 상승은 소비자물가 상승 폭을 키우면서 소비 여력을 제약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KDI "경기 부진 점진적 완화…대외 불확실성 상존"
KDI는 경기 부진 우려를 덜어낸 주된 근거로 반도체를 꼽았다.

8월 반도체 생산은 인공지능(AI) 서버 관련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전년 동기 대비 증가(8.3%)로 전환했다.

전월 대비로도 높은 증가율(13.4%)을 기록하면서 8월 광공업 생산 증가세(5.5%)를 견인했다.

하지만 고금리·고유가 등 대외 불확실성 탓에 제조업 기업 심리는 위축된 모습이라고 KDI는 평가했다.

10월 제조업 업황전망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9로 비제조업(77)보다 낮았다.

서비스 소비는 금융거래 확대, 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증가세지만 고물가·고금리로 실질소득이 준 탓에 상품 소비 부진이 지속된다고 봤다.

8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4.8% 줄었다.

8월 설비투자(-14.9%) 역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8월 건설기성(12.3%) 등 건설투자는 큰 폭으로 늘었지만 건설수주(-59.0%·경상), 주택인허가(-89.4%) 등 선행지표가 큰 폭으로 하락해 향후 건설 투자를 제약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주택 시장 역시 매매가·전세가가 오르면서 수요 부진이 완화되고 있지만 주택 착공 위축으로 주택 공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봤다.

KDI "경기 부진 점진적 완화…대외 불확실성 상존"
9월 수출(-4.4%)은 반도체(-13.6%) 분야 감소 폭이 축소되고 자동차(9.5%), 일반기계(9.8%) 등이 증가하는 등 대부분 품목에서 부진이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노동시장은 8월 취업자 증가세(26만8천명)와 고용률(계절조정·62.6%)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9월 소비자물가는 변동성이 큰 석유류·농산물 영향으로 상승 폭(3.7%)이 컸지만 기조적인 물가 상승세는 둔화 흐름에 있다고 판단했다.

9월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달과 같은 3.3%였다.

세계 경제는 고금리 기조와 중국의 경기 둔화로 당분간 낮은 성장세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소비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는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봤다.

중국은 산업생산·소매판매 등 최근 주요 경제지표 개선에도 부동산 시장과 해외 수요 위축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