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가장 성공한 전투…민간인 10만명 자유 품 안기게 해"…미군 명비에 참배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광장에서 열린 제73주년 장진호 전투 기념식에 참석했다.

장진호 전투는 1950년 11월 27일부터 12월 11일까지 미군을 비롯한 유엔군이 함경남도 개마고원 장진호 북쪽으로 진출하던 중 중공군 포위망을 뚫고 흥남에 도착하기까지 2주간 전개한 철수 작전이다.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가 당시 큰 희생을 치른 미 해병 제1사단과 유엔군 장병을 추모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기념식을 개최한 이래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장진호 전투는 영하 40도가 넘는 추위와 험난한 지형, 겹겹이 쌓인 적의 포위망을 돌파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전투"라며 "장진호 전투를 통해 흥남지역 민간인 10만 명이 자유의 품에 안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참석 전 전쟁기념관에 있는 고(故) 제럴드 버나드 래이매커 병장 명비를 찾아 참배했다.

미 해병 제1사단 소속으로 참전했던 래이매커 병장은 1950년 12월 6일 장진호 전투에서 중상을 입었다.

다른 병사가 그를 건초 더미에 숨겼으나 이후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사 68년이 지난 2018년 북한에서 미국으로 래이매커 병장 유해가 봉환됐고 이듬해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윤 대통령은 이어 1950년 흥남철수작전에 참전한 102세 김응선 옹과 1953∼1955년 미 제506군사 정보대대에서 복무한 켄림 힌쇼 모이 등 한미 양국의 6·25전쟁 참전용사와 함께 식장에 입장하며 예우를 표했다.

기념식에서는 미 7사단 32연대 소속 카투사로 장진호에서 전사한 고(故) 김동성 일병의 증손자인 김하랑 공군 병장이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낭독했다.

또 같은 카투사 출신으로 전사한 고(故) 김석주 일병의 외증손녀인 김혜수 육군 중위가 할아버지에게 띄우는 편지를 낭송했다.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는 미 정부를 대표해 추념사를 했으며, 기념식 마지막에는 우리 군가합창단이 한미 해병대가를 연주했다.

기념식에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박정환 육군 참모총장, 이종호 해군 참모총장, 정상화 공군 참모총장, 안병석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골드버그 대사, 앤드루 해리슨 유엔사부사령관, 윌리엄 소자 3세 주한 미해병대 사령관, 존 캐리 유엔사 기획참모 차장,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안보실 1차장, 인성환 2차장, 임기훈 국방비서관 등과 양국 군 장병 등 2천800여 명이 함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