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이란 유화정책 비판하며 대응 촉구…원유시설 파괴 주장도
바이든정부 "어떤 것도 배제 안해"…고유가·경제 우려로 행동엔 주저
美 정치권, 바이든에 '하마스 배후' 이란 원유 수출제재 요구
미국 정치권에서 오랜 기간 '하마스의 배후'였고, 이번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에도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란에 대해 원유 수출을 차단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폴리티코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릭 스콧 의원을 포함한 공화당 상원 의원 10명은 지난 10일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주요 7개국(G7) 회의를 소집해 이란을 더 고립시킬 강력한 제재 등 조율된 행동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란은 정상 국가나 협상 파트너가 아니고 문명 세계의 규범에 기반한 질서를 따르려는 척도 하지 않는다"며 "이란 정권이 손에 든 모든 달러는 테러를 후원하고 정권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고 지적했다.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도 지난 9일 지역 방송과 인터뷰에서 "이란은 원유가 없으면 돈이 없고, 돈이 없으면 테러는 가장 큰 후원자를 잃게 된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이스라엘과 함께 "이란의 원유 시설을 파괴할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공화당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지난 2015년 서방과 이란이 체결했다가 전임 트럼프 정부에서 파기한 이란과의 핵 합의를 복원하려고 시도하는 등 유화 정책을 펼치는 동안 이란의 원유 수출이 급증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전임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정보국(DNI) 국장을 지낸 존 랫클리프는 지난 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의 이슬람 테러 정권을 돕기 위해 한 것들을 봐라. 제재 이행을 중단하고 (투자 및 교역)제한을 해제했으며 지난 몇 년간 이란 원유 수출이 650% 증가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케빈 매카시 전 하원의장(공화·캘리포니아)은 지난 9일 기자들에게 이란이 원유 판매 덕분에 "수십억달러를 벌고 있다"며 "이란은 그 재산을 테러 후원에 쓰고 있다"고 말했다.

美 정치권, 바이든에 '하마스 배후' 이란 원유 수출제재 요구
일부 민주당 의원도 이란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상원에서 매기 해선 의원(민주·뉴햄프셔)이 마코 루비오(공화·플로리다) 의원과 함께 이란의 원유 수출을 돕는 이를 제재하는 초당적 법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하원에서도 재러드 모스코위츠(민주·플로리다) 의원과 마이크 롤러(공화·뉴욕) 의원이 같은 법안을 공동 발의했다.

미국이 이란과 수감자를 교환하면서 인도주의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합의하고 제공한 원유 수출대금 60억달러를 다시 동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계속 나오고 있다.

백악관은 대(對)이란 추가 제재나 자금 동결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도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모로코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 총회 기자회견에서 "향후 가능한 행동과 관련해 난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겠지만 분명히 지금 너무 앞서가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란의 원유 수출을 차단할 경우 유가 상승을 유발하고, 세계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바이든 행정부가 쉽사리 행동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자금줄에 피해를 주기 위해 원유 가격 상한제를 이행하면서도 러시아의 원유 수출 자체를 봉쇄하지는 않는 게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이란은 미국에 원유를 수출하지 않지만, 작년 전 세계 공급의 약 3%를 생산했으며 세계에서 8번째로 큰 원유 생산국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