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조차 아름다워… 거부할 수 없는 사랑이 객석까지 지배했다 [로미오와 줄리엣]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발레, 무도에의 권유' 저자 이단비 작가의 [발레 리뷰]
모나코-몬테카를로발레단,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 <로미오와 줄리엣>
"단 5일간의 사랑, 강렬한 역설의 美를 보여줬다"
모나코-몬테카를로발레단,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 <로미오와 줄리엣>
"단 5일간의 사랑, 강렬한 역설의 美를 보여줬다"
![죽음조차 아름다워… 거부할 수 없는 사랑이 객석까지 지배했다 [로미오와 줄리엣]](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83330.1.jpg)
그 질문 안에서 우리는 ‘역설’이란 단어를 읽는다. 일상의 감각 안에서는 전혀 연결될 수 없는 지점이 예술 안에서 경이로운 조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번에 내한한 몬테카를로발레단의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 안무작 <로미오와 줄리엣>도 온통 아름다운 역설이 가득한 무대였다.
![죽음조차 아름다워… 거부할 수 없는 사랑이 객석까지 지배했다 [로미오와 줄리엣]](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83332.1.jpg)
정점은 마지막 장면이다. 죽음의 그 순간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건 가장 큰 역설이다. 티볼트의 죽음의 순간은 어떤가. 긴박하고 숨 막히는 그 순간의 역동성을 슬로우비디오처럼 연출해서 무거운 침묵으로 이끌어낸다. 관객은 입을 틀어막고 타악기의 강한 타건 안에 자신의 심장박동수를 맞추게 된다.
이 장면뿐 아니라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영화적 기법을 적용했다. 각각의 장면을 로렌스 신부의 회상과 시각을 통해 이끌어 가는 점은 특히 그렇다. 몬테규가와 캐퓰릿가의 갈등과 다툼, 로미오와 줄리엣의 만남과 결혼, 그리고 어긋한 신호로 죽음에 이르기까지, 각 장면은 로렌스 신부가 통탄과 울음 안에서 과거를 되짚어보는 상황이다. 그래서 순간순간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장면은 한 장의 그림처럼 멈춰 서는데, 그때 고전과 현대의 미를 조화시킨 제롬 카플랑의 의상은 그림 같은 미장센을 완성하는데 톡톡한 역할을 한다.
![죽음조차 아름다워… 거부할 수 없는 사랑이 객석까지 지배했다 [로미오와 줄리엣]](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83333.1.jpg)
이번 무대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의 연주가 함께 했다. 이 지점에서 언론사가 시대의 문화예술을 이끌겠다는 결심을 세우고, 새로운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들을 수 있도록 문을 열고, 몬테카를로발레단과 합을 맞추는 현장을 관객에게 선사한 것은 신선한 감흥을 일으키기도 했다.
원작인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죽음으로 몬테규와 캐퓰릿 두 가문이 화해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과연 이 작품은 비극인가, 희극인가,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주는 결말이다. 그동안 <로미오와 줄리엣>은 안무가마다 자신의 철학이 담긴 마무리를 보여줬다.
![죽음조차 아름다워… 거부할 수 없는 사랑이 객석까지 지배했다 [로미오와 줄리엣]](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83331.1.jpg)
사랑은 이래저래 거부할 수 없는 가장 강렬한 감정이다. 마이요는 춤을 통해 우리 모두가 갖고 있는 이 감정과 기억을 상기시키고, 하나로 묶었다.
![죽음조차 아름다워… 거부할 수 없는 사랑이 객석까지 지배했다 [로미오와 줄리엣]](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783335.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