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에 통합과학·사회 포함, '2전 3기' 가능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1수능', '2022대입' 개편 당시에도 검토했다 무산
쉽게 출제하면 '변별력', 어렵게 내면 '사교육 부담' 우려
일선교사들 "수능 출제하더라도 교과목 특성 반영 어려워"
교육부가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을 발표하면서, 2017년과 2018년 2번에 걸쳐 보류됐던 통합사회·통합과학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포함이 이번에는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 15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2017년 새 교육과정에 맞춰 '20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하면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당시 교육부는 "모든 학생이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분야의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한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해 2021학년도 수능부터 시험과목으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당시 수능 개편은 시험과목보다 '절대평가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절대평가 확대로 수능의 영향력이 줄고 학생부종합전형을 둘러싼 공정성 논란이 커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확산하자, 김상곤 당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능 개편을 1년 미루기로 했다. 이듬해인 2018년 교육부는 '2022 대입 개편'과 관련된 쟁점을 정리해 국가교육회의에 이송하면서 3가지 수능 개편안을 만들었는데, 1안에 통합사회·통합과학을 포함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쟁점은 수능 시험과목보다는 '수시·정시 간의 적정 비율'이었고, 국가교육회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의 수능 포함 여부'는 국민 의견수렴 결과를 고려하여 교육부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부대의견만 제시했다.
결국 수험생 선택권을 존중한다는 '선택형 수능'의 취지를 고려해 교육부는 '사회·과학 17과목 중 택2' 체제를 확정했고, 이 체제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해 2028 대입 개편을 확정할 교육부는 학교 수업과 수능 시험과목의 연계를 위해 통합사회·통합과학의 수능 출제를 '2전 3기'로 시도하고 있지만 이번에도 장애물이 적지 않다.
학계에서는 고교 2·3학년이 배우는 일반·진로선택과목이 아니라, 1학년이 배우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수능에 출제할 경우 대학 수업에 필요한 기초 소양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학생, 학부모와 교육계의 우려도 상당하다.
출제범위가 고1 교과목인 데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우려해 너무 기초적인 문항을 출제하다 보면 변별력이 떨어지면서 국어·수학의 난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김원중 대성학원 입시전략실장은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기존 탐구영역 17개 과목에 비해 비교적 쉬운 과목"이라며 "나머지 상대평가 과목인 국어와 수학에서 변별력을 확보해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난도가 높아질 경우 학생들의 성적 편차가 큰 '과학'을 중심으로 사교육 유발 가능성이 커진다.
인문사회계열 진학 희망자와 자연계열 희망자 사이에 유불리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서울 강서구에 사는 중2 학부모는 "중3 때 통합사회·통합과학은 선행(학습)을 해놓고, 고등학교에서는 과학 심화학습을 해야 수능에 유리하다는 말을 들었다"며 "교육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통합사회·통합과학 자체가 융합적 사고와 다양한 프로젝트 수업을 위해 만들어진 과목인 만큼, 객관식에 상대평가 방식으로 수능에 포함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의 한 고교 교사는 "통합사회는 '1+1 = 2' 같은 정답을 찾는 과목이 아니다"며 "예를 들면 '사회 정의와 불평등' 단원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사람들에게 똑같이 배분할지, 약자처럼 지원이 더 필요한 사람에게 더 많이 배분할지,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사람에게 더 배분할 지 등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토론하며 고민해보는 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교과목을 논술형도 아닌 객관식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출제하더라도 교과목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수업과 수능 공부가 어긋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쉽게 출제하면 '변별력', 어렵게 내면 '사교육 부담' 우려
일선교사들 "수능 출제하더라도 교과목 특성 반영 어려워"
교육부가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을 발표하면서, 2017년과 2018년 2번에 걸쳐 보류됐던 통합사회·통합과학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포함이 이번에는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 15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2017년 새 교육과정에 맞춰 '20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하면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당시 교육부는 "모든 학생이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분야의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한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해 2021학년도 수능부터 시험과목으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당시 수능 개편은 시험과목보다 '절대평가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절대평가 확대로 수능의 영향력이 줄고 학생부종합전형을 둘러싼 공정성 논란이 커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확산하자, 김상곤 당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능 개편을 1년 미루기로 했다. 이듬해인 2018년 교육부는 '2022 대입 개편'과 관련된 쟁점을 정리해 국가교육회의에 이송하면서 3가지 수능 개편안을 만들었는데, 1안에 통합사회·통합과학을 포함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쟁점은 수능 시험과목보다는 '수시·정시 간의 적정 비율'이었고, 국가교육회의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의 수능 포함 여부'는 국민 의견수렴 결과를 고려하여 교육부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부대의견만 제시했다.
결국 수험생 선택권을 존중한다는 '선택형 수능'의 취지를 고려해 교육부는 '사회·과학 17과목 중 택2' 체제를 확정했고, 이 체제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해 2028 대입 개편을 확정할 교육부는 학교 수업과 수능 시험과목의 연계를 위해 통합사회·통합과학의 수능 출제를 '2전 3기'로 시도하고 있지만 이번에도 장애물이 적지 않다.
학계에서는 고교 2·3학년이 배우는 일반·진로선택과목이 아니라, 1학년이 배우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수능에 출제할 경우 대학 수업에 필요한 기초 소양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학생, 학부모와 교육계의 우려도 상당하다.
출제범위가 고1 교과목인 데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우려해 너무 기초적인 문항을 출제하다 보면 변별력이 떨어지면서 국어·수학의 난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김원중 대성학원 입시전략실장은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기존 탐구영역 17개 과목에 비해 비교적 쉬운 과목"이라며 "나머지 상대평가 과목인 국어와 수학에서 변별력을 확보해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난도가 높아질 경우 학생들의 성적 편차가 큰 '과학'을 중심으로 사교육 유발 가능성이 커진다.
인문사회계열 진학 희망자와 자연계열 희망자 사이에 유불리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서울 강서구에 사는 중2 학부모는 "중3 때 통합사회·통합과학은 선행(학습)을 해놓고, 고등학교에서는 과학 심화학습을 해야 수능에 유리하다는 말을 들었다"며 "교육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통합사회·통합과학 자체가 융합적 사고와 다양한 프로젝트 수업을 위해 만들어진 과목인 만큼, 객관식에 상대평가 방식으로 수능에 포함하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의 한 고교 교사는 "통합사회는 '1+1 = 2' 같은 정답을 찾는 과목이 아니다"며 "예를 들면 '사회 정의와 불평등' 단원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사람들에게 똑같이 배분할지, 약자처럼 지원이 더 필요한 사람에게 더 많이 배분할지,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사람에게 더 배분할 지 등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토론하며 고민해보는 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교과목을 논술형도 아닌 객관식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출제하더라도 교과목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수업과 수능 공부가 어긋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