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횟감’ 광어와 우럭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해 여름철 폭염으로 양식장에 있던 물고기들이 집단 폐사하면서 시장에 내다 팔 물량이 부족해진 탓이다. 올 가을은 돼야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9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 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1월 우럭 도매가격은 ㎏당 1만7900원으로, 전년 동월(1만1650원) 대비 55.0% 뛰었다. 이달에도 작년 같은 달(1만1250원)보다 55.6% 오른 ㎏당 1만7500원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광어 가격도 ‘우상향’이다. 올 1월 광어 도매가격은 ㎏당 1만8475원으로, 1년 전(1만5560원)보다 18.7% 상승했다. 이달엔 ㎏당 1만8000원으로 1년 전(1만594원)보다 19.3% 뛸 것이란 게 KMI의 예상이다. 경기 침체로 수산물 소비가 줄어들었는데도 가격이 뛴 것은 공급량이 크게 줄어서다. 지난달 우럭 출하량은 827t으로 지난해 같은 달(1352t)보다 38.8% 급감했다. 이달 출하량도 950t으로 작년 같은 달(1207t)보다 21.4%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광어 출하량도 3000t으로 지난해 같은 달(3195t) 수준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시장에 공급되는 물량이 줄어든 것은 작년 여름철 무더위 영향이 크다. 유례없는 폭염으로 바다마저 뜨거워지면서 양식장에 있던 우럭과 광어가 집단 폐사해 겨울철까지 수급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철(6~8월) 전국 평균기온은 25.6도로, 1973년 이래 가장 높았다. 해수면 온도도 23.9도로 최근 10년(2015~2024년) 중 가장 더웠다. 특히 8월에는 맑은 날이 많아 일사량도 늘면서 평균 해수면 온도가 28.3도까지 상승했다. 양식장은 고수온의 직격탄을 맞았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
KGC인삼공사는 정관장의 건강음료 브랜드인 ‘홍삼원’의 연간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고 18일 밝혔다. 1988년 출시된 홍삼원은 깊고 진한 홍삼의 풍미에 계피, 대추, 생강, 구기자 등 성분을 담았다. 영지버섯과 녹용을 더한 ‘홍삼원기’, ‘홍삼원 골드’ 이외에 지난해 새롭게 출시한 제로(0) 칼로리 제품인 ‘홍삼원 딜라이트’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해외 시장 공략에 성공한 ‘수출 효자’ 상품이기도 하다. 지난해 매출 1032억원 중 약 54%인 555억원이 해외에서 나왔다. 지난해에는 중국(158%)을 비롯해 동남아시아(144%), 일본(122%), 미국(116%) 등지서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었다.홍삼원이 글로벌서 높은 인기를 누리는 건 현지 맞춤형 전략 덕분이다. 홍삼원은 한국서 8종, 해외서 26종이 팔린다. 미국에서 홍삼원은 ‘카페인 없는 프리미엄 에너지 드링크’로 잘 알려져있다. 주 소비층은 30대 남성으로 남부와 중동부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2015년 코스트코에 처음 입점해 현재 약 140개 매장에서 팔린다. 일본에서는 40대 여성들이 피로 관리를 위해 홍삼 함량이 높은 ‘홍삼원 플러스’를 많이 구매한다. 동남아에는 2018년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도 수출하고 있다.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워렌 버핏이 주식을 팔고 현금을 축적하는 동안,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은 1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현금을 보유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월간 펀드 매니저 설문 조사 결과 전세계 펀드 매니저의 2월 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보유 비중은 2월에 3.5%로 떨어졌다. 이는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뱅크오브 아메리카는 매도 신호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현금 보유량이 4% 이하로 떨어지면 매도 신호가 발생하고 현금 보유량이 최소 5%에 도달하면 매수 신호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자산 4,820억 달러를 운용하는 205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이 설문조사에서 34%의 참여자는 올해 글로벌 주식이 가장 수익률이 높은 자산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 11%는 채권에 대해 비중축소라고 밝혔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전략가 마이클 하트넷은 투자자들이 “주식은 매수, 나머지는 매도”상태라고 적었다. 그는 이 같은 강세 심리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강력한 경제 성장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89%는 미국 주식이 과대 평가 됐다고 답했다. 이는 2001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주식 배분과 세계 경제 성장 예측을 포함한 보다 광범위한 투자자 심리 지표가 1월의 6.1에서 2월에 6.4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2월에 매니저들은 부문별로는 유로존 주식, 채권, 방어적 부문에 대한 배분을 늘리고 기술주와 은행에 대한 배분을 줄였다. 투자자들이 보는 소프트 랜딩 확률은 5개월 만에 처음으로 50%에서 52%로 상승했다. 하드 랜딩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낮